학술논문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생의 국어사용과 인식
이용수 123
- 영문명
- The Use and Cognition of Korean of the Students in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한영목(Han Youngmok)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72輯, 123~15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the students who were
taking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analyzed the results of
175 students' responses.
The students are female who are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and the
majority of them majored in languages or humanities. Before taking the
program, 25 students(14.2%) took a course of Korean study and 40
students(22.9%) had teaching experience on Korean. 118 students(67.4%)
responded that they are interested in Korean language and registered for
the program in order to get a Korean language teaching certificate and
to teach Korean to foreigners. The students also responded that the course
hours fo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are on the whole appropriate.
The students's actual use of Korean and their cognition are as follows.
They showed a positive view about purification of a difficult loanword
or a foreign language and about the use of a Chinese character with
Korean and the education of a Chinese character. 53 students(30.38%)
pointed out that misunderstandings which they have experienced through
listening or reading were caused by grammar, language standard, and so on.
They responded that they have tension and a difficulty in using an
appropriate word in front of an audience, although they are much
interested in speaking. Despite their responses that they are much
interested in writing and are good at writing(101 students, 57.7%), the
overall results of the research indicated that they often used dialects,
vulgar words, and loanwords or foreign languages and frequently made
mistakes in word-spacing and orthograph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when they encounter a word that they do not know, they
often use internet(84 students, 48%) and only 50 students(28.6%) use a
Korean dictionary. Also, it was showed that 91 students(52.0%) have
experienced a difficulty in grammar in everyday life.
목차
1. 머리말
2. 연구 대상자의 실태와 자질 분석
3. 국어 인식과 사용 실태 분석
4. 해석과 제언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태평양전쟁직후 한일(韓日) 소설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비교 연구
-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생의 국어사용과 인식
- 정지용의 「장수산1」에 대한 인지시학적 연구
- 미주지역 이민1세대 소설 비교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형사형 어미 교육 방안
- 문체반정의 논리구조와 18세기 문학담론에 끼친 영향
- 의미 규정에 대한 일 고찰
- {-ㅅㆍㅂㅇ-} 통합 어간의 활용 양상
- 중국 조선족 설화에 나타난 두꺼비 보은설화의 변이 양상
- 문장 종결 형식 ‘-더시다’의 문체 특징
- 대중문화 코드로 본 <춘향전>의 현대적 변이
- 근대전환기 규방가사 <시골여자 슬픈사연>의 성격과 여성화자의 자아인식
- 근대 전환기 몽유 양식의 창작방법의 변주 양상
- 「중국인 거리」에 나타난 서사적 공간 연구
- 해방공간에서의 잔류 일본인 귀환 문제
- 김춘수 초기시에 나타난 무한과 고독의 의미 연구
- ‘상처’와 ‘치유’의 서사담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