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춘수 초기시에 나타난 무한과 고독의 의미 연구
이용수 209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of the infinite and the solitude in Kim, Chun Su's early poem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전병준(Jeon byungj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72輯, 487~51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t has been mostly agreed that Kim, Chun-Su's early poems are the
pre-stage of so-called “senseles poems" or the variations of existentialist
poems. But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early days of Kim's poems from
another point of view that those days of his poems are characteristic of
the dualism which is the original world is separated from the real world.
This dualistic point of view is incited by the notion of the infinite equivalent
of the eternity and the beautiful, and the notion of the dailiness equivalent
of the temporality and the unbeautiful. The recognition of the contradiction
and the discord is the aesthetic tension of Kim's early poems destined to
lead to the solitude. But this is the critical point that he progresses to the
stage of the reflective self-consciousness and through this point he comes
to understand the other. The meeting of the subject and the other is the
momentous point of his poems because this happens through the activity
and the passivity. And this meeting is true meeting as the personal subject
not as the object or the matter.
목차
1. 서론
2. 이원론적 세계 인식과 고독의 심화
3. 반성적 자기의식과 타자에 대한 인식
4. 결론 - 김춘수 초기시에 나타난 무한과 고독의 변증법
<참고문헌>
[Abstract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태평양전쟁직후 한일(韓日) 소설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비교 연구
-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생의 국어사용과 인식
- 정지용의 「장수산1」에 대한 인지시학적 연구
- 미주지역 이민1세대 소설 비교 연구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형사형 어미 교육 방안
- 문체반정의 논리구조와 18세기 문학담론에 끼친 영향
- 의미 규정에 대한 일 고찰
- {-ㅅㆍㅂㅇ-} 통합 어간의 활용 양상
- 중국 조선족 설화에 나타난 두꺼비 보은설화의 변이 양상
- 문장 종결 형식 ‘-더시다’의 문체 특징
- 대중문화 코드로 본 <춘향전>의 현대적 변이
- 근대전환기 규방가사 <시골여자 슬픈사연>의 성격과 여성화자의 자아인식
- 근대 전환기 몽유 양식의 창작방법의 변주 양상
- 「중국인 거리」에 나타난 서사적 공간 연구
- 해방공간에서의 잔류 일본인 귀환 문제
- 김춘수 초기시에 나타난 무한과 고독의 의미 연구
- ‘상처’와 ‘치유’의 서사담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