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ealth-related Life Style, Dietary Habits and Associated Factors of Male Employee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기남(Ki Nam Kim) 허소정(So Jeong Heo)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13권 제2호, 161~17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ealth-related life style, dietary
habits and associated factors of male employee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25 male office workers in Jeonbuk area
between October 18th and 24th, 2008. The subjects were aged from 20 to 50
and 63.2% of the subjects were married and 78.2% lived with their family. 53
out of 125(42.4%) had some type of diseases, and hypertension (45.3%) was the
most prevalent disease. 56.8%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drank alcohol,
and among them 53.5% drank 3-4 times a week. 64.0% reported that they
smoked cigarettes, and among them 53.8% said that they smoked less than one
pack per day. 78.4% reported that they exercised, and among them 55.1%
exercised 1-2 times per week. In terms of dietary habits of the subjects, 65.6%
reported that they had three meals a day. 46.4% reported that it took 10-15
minutes to finish a meal. 28.0% reported that they ate until they felt full and
14.4% reported that they overate. 61.6% of the subjects said that they ate
snacks 1-2 times a week and 62.4% reported that they dined out 2-3 times a
week. While 52.0% reported that they ate mixed-rice, 48.0% said they ate
white rice. 48.8% reported that they had a well balanced meal and 28.0%
reported that they ate more meats and 18.4% reported that they ate more
vegetables. Whereas 28.8% of the subjects thought that balanced nutrition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they ate, 19.2% thought that taste of food was
the most important. When the associations among dietary habits, health-related
life styl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male employees who were
in their 20's, lived alone, smoked, did not regularly exercise, and had some
diseases showed to have a higher health risk. It would be effective to develop
programs to educate people based on their individual needs.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충북지역 고등학교 기숙사 급식의 품질평가
- 청주지역 청소년의 식사 행동과 심리적 적응
- 대학생의 환경친화적 행동과 친환경패션소재 인지도
-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
- 남성 직장인의 건강관련 생활습관, 식습관 및 이에 영향 미치는 요인
- 어린이 시간대의 TV 식품광고 내용 분석
- 유아의 자기조절과 공격성 및 또래유능성
- 초등학교 고학년 조리실습 교육을 통한 학생 인식 및 실습태도 변화
- 남자대학생의 위버 섹슈얼에 대한 태도와 행동
- 오디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생활복지사의 근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웨딩헤어 장식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일-가족 양립을 통한 맞벌이가구 지원의 한국적 딜레마
- 중형규모 아파트 거주자의 공간이용방식과 주요구
- 충북지역 노인들의 건강관련 생활 습관, 질병ㆍ심리양상 및 건강지향 식생활 실태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