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포배양으로 제작한 인공피부에서 멜라닌세포에 대한 관찰
이용수 469
- 영문명
- The Investigation of the Melanocytes in a Cultured Skin Equivalent Model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성언기(Eon Ki Sung) 박영모(Yeung Mo Park) 성훈기(Hoon Ki Sung) 김주영(Joo Young Kim) 이융창(Yung Chang Lee) 박정현(Jeong Hyun Park) 김홍태(Hong Tae Kim) 송인환(In Hwan Song)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3권 제1호, 89~9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실험은 생체 피부를 구성하는 각질화세포와 섬유모세포가 모두 포함된 인공피부에서 멜라닌세포의 위치와 미세구조
를 관찰하였는데, 지금까지 연구, 발표된 단층으로 배양된 멜라닌세포는 생체와 같은 삼차원적인 구조도 아니고 각질화세포나 섬유모세포의 영향도 받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인공피부 제작은 아교섬유 바탕질에 섬유모세포를 배양하여 인공진피를 제작하고, 그 위에 표피로써 각질화세포와 멜라
닌세포를 배양하였다. 이후 표피의 중층을 유도하고 각질층을 형성시켜 가능한 생체피부 조직과 유사한 인공피부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인공피부에서 멜라닌세포의 동정은 NKI/C3 및 S-100 protein 항체를 이용하였고,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인공피부에서 멜라닌세포는 각질화세포에 둘러싸여 바닥층을 형성하였으며, 정상 생체피부와 마찬가지로 각질화세포나
인공진피와 세포사이연접을 형성하지 않았다.
인공피부의 멜라닌세포에는 멜라닌합성에 관여하는 골지복합체와 과립세포질세망이 잘 발달하였으나 성숙된 멜라닌소체
는 드물었고 풋멜라닌소체가 많았다.
인공피부의 각질화세포는 각질층, 과립층, 가시층 및 바닥층을 형성하였고, 다른 각질화세포나 진피와는 부착반점이나 절반부착반점에 의해 세포사이연접을 형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인공피부의 멜라닌세포는 정상 피부와 비교하여 동일한 위치에 있으면서, 멜라닌 합성 능력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미세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된 인공피부는 향후 자외선과 같은 외부자극에 대한 피부 및 멜라닌세포의 반응 기전을 연구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Melanocytes grown in the pure monolayer culture lack the three-dimentional organization and the cellular
interactions that exist in vivo. These can be partially overcome by growing melanocytes together with other epidermal cells in cultured skin equivalent models.
In this study, skin equivalents were prepared by seeding mixtures of cultured human keratinocytes and melanocytes in ratio 10 : 1 onto artificially constructed dermis. They were cultured in DMEM/F12 (1 : 1) for 4 days and then lifted to the air-liquid interface and maintained in DMEM/F12 (3 : 1) for 10 days.
Histological and electronmicroscopic examinations of the cultured skin equivalants revealed a structure that closely resembled human interfollicular epidermis; 1. Melanocytes, were identified by positive staining with melanomaspecific antibodies (NKI/C3 and S-100 protein) and prominent cytoplasm with rich cell organelles, were located in the basal layer. 2.
Melanocytes contained predominently early stage melanosomes and prominent Golgi apparatus. Mature melanins,
were usually abundant in normal skin, were hardly seen both in melanocytes and in neighbouring keratinocytes. 3.
Melanocytes were surrounded by keratinocytes but did not form intercellular junctions with them. 4. Keratinocytes were charaterized by microfilament bundles and intercellular junctions such as desmosomes and hemidesmosomes with neighbouring keratinocytes and artificial dermis.
The melanocyte in the above skin equivalents had a strong resemblance to the one of normal human skin and
therefore this model can be used as artificial skin for the transplantation and in the investigation of melanocytes’ role to the UV stimuli.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태아허파에서 공기-혈액장벽의 미세구조 발달
- Cyclophosphamide가 생쥐 돌창자의 Paneth cell에 미치는 영향
- 사람 피부각질세포에서 자외선 B 조사로 유도된 핵형 및 세포주기 변화
- p53 mRNA Expression after Hypoxia and Reoxygenation in Hippocampal CA1 and CA3 Regions
- 뇌막눈확구멍과 눈물샘부위에 분포하는 중간뇌막동맥의 관계
- 흰쥐 혀의 calretinin과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적용을 위한 Degenerate Oligonucleotide Primed PCR에 관한 연구
- 성체 및 발생중인 흰쥐 콩팥에서 Osteopontin의 발현
- 세포배양으로 제작한 인공피부에서 멜라닌세포에 대한 관찰
- Gene Expression of NeuroD/BETA2 during Development of the Mouse Central Nervous System
- 카드뮴 노출이 흰쥐 고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직학적 및 생화학적 연구
- 배양중인 심장내피세포에서 인삼사포닌의 항산화 효과
- 고양이에서 치수절제술 후 삼차신경척수핵 꼬리쪽부분에서 Neuropeptide Y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및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