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뇌막눈확구멍과 눈물샘부위에 분포하는 중간뇌막동맥의 관계

이용수  6

영문명
Foramen Meningo-orbital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Middle Meningeal Artery
발행기관
대한해부학회
저자명
이혜연(Hye Yeon Lee) 정인혁(In Hyuk Chung)
간행물 정보
『대한해부학회지』제33권 제1호, 99~104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02.28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간뇌막동맥의 가지가 눈확으로 들어가는 길인 뇌막눈확구멍은 눈동맥 발생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이이며, 바깥목동맥과 속목동맥 사이의 곁순환 양상은 이 구멍의 유무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한국인에서는 뇌막눈확구멍의 존재나 빈도에 대해 보고된 바 없고, 이것이 존재할 때, 중간뇌막동맥과 눈동맥이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분석도 없다. 이에 연구자들은 한국인 마른 머리뼈 50개를 대상으로 뇌막눈확구멍과 위눈확틈새 가쪽각에 형성된 동맥에 의한 패임의 빈도를 조사하고, 뇌막눈 확구멍의 위치를 측정하였으며, 시신의 눈확 30쪽을 해부하여 눈동맥과 중간뇌막동맥이 연결된 양상을 관찰하였다. 마른뼈에서 뇌막눈확구멍은 45%에서 관찰되었고, 양쪽에 동시에 나타나는 빈도는 38% 였다. 뇌막눈확구멍이 두 개인 것을 9%의 표본에서 관찰하였다. 마른 뼈에서 뇌막안와구멍구멍은 나비뼈 큰날개의 위가쪽에 위치하며, 위눈확틈새 가쪽각에서 이 구멍까지의 평균거리는 6.1±4.7mm였다. 위눈확틈새 가쪽에 패임이 있는 것은 18%였다. 50%의 머리 표본에서 뇌막눈확구멍을 지나는 뇌막눈물샘동맥이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뇌막눈물샘동맥이 있는 표본에서 눈물샘동맥은 이 동맥에서 일어나거나, 눈동맥에서 이는 가지와 같이 분포하였으며, 눈동맥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되돌이뇌막동맥은 33.3%에서 관찰되었으며, 눈물샘동맥과 중간뇌막동맥을 연결하고 있었다. 눈물샘동맥이 눈동맥과 중간뇌막동맥에서 이중으로 일어나는 것은 모두 13.3% 였다. 뇌막눈물샘동맥과 뇌막눈동맥이 한쪽에 같이 있는 것을 한 예 관찰하였다. 각 변이의 발생학적 의의는 본문에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Foramen meiningo-orbitale, a solitary canal for a branch of the middle meningeal artery is a embyological variant during an ophthalmic artery development. The anastomotic pattern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carotid artery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oramen. In Korean, there has been no report on the foramen meningo-orbitale, but also on the anastomosis between the middle meningeal and the ophthalmic arteries. The incidence and location of the foramen meningo-orbitale are reported from fifty korean adult dried skulls and the anastomotic pattern of the middle meningeal artery in thirty orbits is also reported. The foramen meningo-orbitale was presented in 45% of the cases. It appeared in both side at the same person in 38%. Double foramen was observed in 9% of the cases. The foramen located on the superior lateral aspect of the greater wing of the sphenoid bone and the average distance from the lateral angle of the superior orbital fissure was 6.1±4.7 mm. The impression forming on the lateral margin of the superior orbital fissue was identified in 18% of the cases. The meningolacrimal artery was found in 50% of the dissected materials. It entered the orbit through the foramen meningo-orbitale and gave off the lacrimal artery. In these cases, there was no anastomosis between the lacrimal and the ophthalmic arteries. The recurrent meningeal artery was observed in 33.3% and it formed an anastomosis between the lacrimal and the middle meningeal arteries in the cases which had no meningolacrimal artery. In 13.3%, two lacrimal artery were observed, in which one arose from the ophthalmic artery and the other from the meningolacrimal or sphenoidal artery. In one case, the meningolacrimal artery and the meningoophthalmic artery co-existed. We discuss them embryologicall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연(Hye Yeon Lee),정인혁(In Hyuk Chung). (2000).뇌막눈확구멍과 눈물샘부위에 분포하는 중간뇌막동맥의 관계. 대한해부학회지, 33 (1), 99-104

MLA

이혜연(Hye Yeon Lee),정인혁(In Hyuk Chung). "뇌막눈확구멍과 눈물샘부위에 분포하는 중간뇌막동맥의 관계." 대한해부학회지, 33.1(2000): 99-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