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양이에서 치수절제술 후 삼차신경척수핵 꼬리쪽부분에서 Neuropeptide Y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및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이용수  19

영문명
An Immunohistochemical and Immuno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Distribution of Neuropeptide Y in the Cat Spinal Trigeminal Subnucleus Caudalis after Pulpectomy
발행기관
대한해부학회
저자명
이승표(Seung-Pyo Lee) 백기석(Ki-Suk Paik) 김명국(Myung-Kook Kim)
간행물 정보
『대한해부학회지』제33권 제1호, 1~1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02.28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체중 3 kg 내외의 건강한 고양이에서 정상대조군과 아래턱작은어금니 및 큰어금니의 치수를 제거한 후 14일 경과된 실험 군의 삼차신경척수핵 꼬리쪽부분에서 neuropeptide Y(NPY)의 분포를 알기 위해 면역조직화학 및 면역전자현미경적 방법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광학현미경 소견에서 삼차신경척수핵 꼬리쪽부분의 NPY 면역반응은, 정상대조군에서는 I 층판과 II 층판의 바깥 부위에서 관찰되었고, 아래턱작은어금니 및 큰어금니의 치수를 제거한 후 14일군에서는 면역반응이 I 층판과 II 층판의 바깥 및 안쪽부위에서 관찰되었으며 면역반응의 정도는 정상대조군보다 강하였다. 2. 전자현미경 소견에서 정상대조군의 삼차신경척수핵 꼬리쪽부분은 축삭끝가지, 가지돌기, 말이집신경섬유 및 민말이집신경섬유에서 NPY 면역반응이 관찰되었으며, 이들 NPY 면역반응은 막구조와 관련되어 미세관, 연접소포, 바깥사립체막 및 축삭형질막의 내면에서 관찰되었다. 3. 전자현미경 소견에서 아래턱작은어금니 및 큰어금니의 치수를 제거한 후 14일이 경과된 삼차신경척수핵 꼬리쪽부분은 축삭끝가지, 가지돌기, 말이집신경섬유 및 민말이집신경섬유에서 NPY 면역반응이 관찰되었으며, 정상대조군보다 많이 출현하였고, NPY 면역반응의 정도도 강하였다. NPY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둥근연접소포를 갖는 축삭끝가지들이 주위의 가지돌기에 둘러싸이는 연접토리 및 NPY 면역반응을 나타내는 축삭과 NPY 면역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축삭간의 축삭 축삭연접이 관찰되었다. 4. 이상의 결과에서 아래턱작은어금니 및 큰어금니의 치수절제술 후 삼차신경척수핵 꼬리쪽 부분에서 NPY 면역반응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런 현상은 말초신경의 손상 후 NPY가 통증의 감각 조절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neuropeptide Y (NPY) in the cat spinal trigeminal subnucleus caudalis following pulpectomy of mandibular premolars and molar by means of an immunohistochemical and immunoelectron microscopic study.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normal and experimental group which were sacrificed at 14 days after pulpectom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n the light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spinal trigeminal subnucleus caudalis in normal group, NPYimmunoreactivity (IR) was weak within lamina I and lamina II outer. In pulpectomy group, NPY-IR was strong and appeared to extend into lamina I and lamina II inner at 14 days. 2. On the immuno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spinal trigeminal subnucleus caudalis in normal group, NPY-IR was revealed in axon terminals, dendrites, myelinated axons and unmyelinated axons. NPY-IR was associated with membrane structures within microtubules, synaptic vesicles, outer membrane of mitochondria and inner surface of the axolemma. In NPY-immunoreactive structure, there was a small amount of DAB precipitations. 3. On the immuno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spinal trigeminal subnucleus caudalis at 14 days in pulpectomy group, the number of NPY-immunoreactive axon terminals, dendrites, myelinated axons and unmyelinated axons was increased than normal group. DAB precipitations in NPY-immunoreactive structure was increased than normal group. Some NPY-immunoreactive axon terminal formed synaptic glomerulus and axoaxonic synapse. 4. The results indicate that NPY-IR was increased in the spinal trigeminal subnucleus caudalis after pulpectomy, and it is speculated that the increased NPY by injury of peripheral nerve may participate in the processing of nocicep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표(Seung-Pyo Lee),백기석(Ki-Suk Paik),김명국(Myung-Kook Kim). (2000).고양이에서 치수절제술 후 삼차신경척수핵 꼬리쪽부분에서 Neuropeptide Y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및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대한해부학회지, 33 (1), 1-12

MLA

이승표(Seung-Pyo Lee),백기석(Ki-Suk Paik),김명국(Myung-Kook Kim). "고양이에서 치수절제술 후 삼차신경척수핵 꼬리쪽부분에서 Neuropeptide Y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및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대한해부학회지, 33.1(2000): 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