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태아허파에서 공기-혈액장벽의 미세구조 발달

이용수  78

영문명
The Ultrastructural Development of Air-Blood Barrier in Human Fetal Lung
발행기관
대한해부학회
저자명
김범수(Bum Soo Kim) 임인석(In Seok Lim) 김경용(Kyung Yong Kim) 이원복(Won Bok Lee)
간행물 정보
『대한해부학회지』제33권 제1호, 65~7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02.28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태아허파에서 공기-혈액장벽은 허파의 성숙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본 실험에서는 태아허파의 출생전 성숙시기 를 구분하여 공기-혈액장벽의 발생과정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기-혈액장벽의 형성이 시작되는 모세혈관과 허파꽈리의 접촉은 태령 제 16주에 처음으로 관찰되었다. 모세혈관이 호흡상피세포의 세포질을 뚫으면서 모세혈관의 내피세포와 호흡상피세포의 바닥막이 융합하기 시작하였다. 2. 호흡허파꽈리세포의 편평화는 바닥막의 융합된 부위에서만 관찰되었고 이것은 기계적인 압박에 의해서가 아니라 바닥 막의 유도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3. 독립된 모세혈관과 허파꽈리의 바닥막은 편평하였지만, 두 바닥막이 융합되면서 두 세포의 바닥과 이 사이에 있는 바 닥막은 심한 굴곡을 나타냈다. 그러나 허파꽈리가 본격적으로 발달하는 종말주머니시기가 진행되면서 굴곡은 크게 감 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공기-혈액장벽은 거짓샘시기의 말경부터 발달하기 시작하며, 모세혈관이 인접한 호흡상피세포의 핵이 없는 세포질을 뚫으면서 형성되었다. 또한 공기-혈액장벽의 형성에는 융합된 바닥막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air-blood barrier represents the maturity of developing lung. The development of air-blood barrier in human fetal lung was studi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formation of air-blood barrier started at 16 week of postcoitum, which was the end of pseudoglandular period. The basement membranes began to be fused with each other as the capillaries penetrated between epithelial cells of primitive alveoli. 2. The flattening of the type II alveolar cells was observed only around the site of fused basement membranes, which seemed to be developed not by mechanical force but by induction of the fused basement membrane. 3. The basement membranes of capillaries and alveoli were relatively flat until the fusion occurred, but they showed severe folds with the occurrence of fusion. But with the proceeding of the terminal sac period, the folds greatly decreased. In summary, the air-blood barrier began to develop at the end of pseudoglandular period and was formed as capillaries penetrated the cytoplasms of epithelial cells devoided of the nuclei. The fused basement membranes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ir-blood barrier.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범수(Bum Soo Kim),임인석(In Seok Lim),김경용(Kyung Yong Kim),이원복(Won Bok Lee). (2000).태아허파에서 공기-혈액장벽의 미세구조 발달. 대한해부학회지, 33 (1), 65-76

MLA

김범수(Bum Soo Kim),임인석(In Seok Lim),김경용(Kyung Yong Kim),이원복(Won Bok Lee). "태아허파에서 공기-혈액장벽의 미세구조 발달." 대한해부학회지, 33.1(2000): 65-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