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피부 관리가 개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54
- 영문명
- Potential Effects of Skin Care on Client's Sense of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이순희(Soon He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10권 제4호, 127~14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otential effects of skin care on client's sense of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To meet the goal, this study surveyed 217 clients (male and female) who lived in Daejeon metropolitan area and used skin care shop as of survey.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ome to the following findings.
It was found that clients with better skin health conditions felt significantly higher sense of self-efficacy than other skin care clients on a statistical basis. And clients who were more satisfied at their skin felt significantly higher sense of self-efficacy than other skin care clients on a statistical basis.
Interestingly, it was found that clients who had better skin health conditions showed higher satisfaction at their life than other skin care clients on a statistical bases. And it was found that clients who took higher satisfaction in their own ski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at their life than other skin care clients on a statistical basis.
Summing up, it is concluded that skin care is positively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nse of self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kin care will be more recommended to meet psychologic or mental needs, as well as needs for appearance managemen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락마사지와 기능적 전기자극이 복부비만에 미치는 효과
- 산삼배양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이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Nail 컬러링에 따른 손톱 손상도에 관한 연구
- 천연매염제가 헤나의 모발염색성에 미치는 영향
- 아유르베다 체질과 청소년기의 여드름 상태에 관한 상관성 연구
- 미용업체 내부마케팅이 종사원의 직무만족, 고객지향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 우울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 피부 관리가 개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체의 미의식에 따른 서양메이크업과 의복에 관한 연구
- 조선 전기의 메이크업과 동시대 중국과 일본의 메이크업 비교
- 불한증 고열 요법 이용자들의 형태 및 인식이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
- 메이크업에 표현된 미적 가치
- 팜므 파탈 이미지와 스모키메이크업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 한국인체예술학회지 논문심사규정 외
- Body Painting을 활용한 TV 광고 사례연구
- 조선시대와 청대 인물화에 나타난 화장문화 비교 고찰
- Omega 6 계열 불포화지방산의 세포독성과 항산화 효과
- 대학 미용학과 졸업생의 무시험 미용사 면허 발급 타당성에 관한 연구
- 뷰티(美)산업의 성공전략 분석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