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와 청대 인물화에 나타난 화장문화 비교 고찰
이용수 369
- 영문명
- A Study on Make-up Culture Shown in Figure Painting during Joseon Period and Qing Period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박경미(Kyoung Mee Park) 박옥련(Ok Lyu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10권 제4호, 205~2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Joseon period, it was allowed to be dual with the heavy make-up in gisaengs and and the non-heavy make-up in general women. This is attributable to Confucian ideas. Even the make-up style in general women became the heavy make-up while suffering Imjinwaeran(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Byeongjahoran(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However, the make-up in women of Joseon period wasn't heavy, but was softer and more refined than any other eras. Women in Qing Dynasty had features in a figure like the leaves of a willow, long face, thin eye, and lips as red as a cherry. This was reflected even in a figure painting, thereby having signified the internal beauty in addition to the pathologic beauty in light of a form. The make-up culture, which was shown in a figure painting during Joseon period and Qing Dynasty, is reflecting a typical woman's image in each country. In Joseon period was preferred the make-up style in healthy feminine beauty. On the other hand, the make-up style in pathologic woman was shown in the phase of the Qing period. As the above, the make-up culture in Qing Dynasty was reflecting not only a sign of the times but also feminine beauty in each countr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락마사지와 기능적 전기자극이 복부비만에 미치는 효과
- 산삼배양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이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Nail 컬러링에 따른 손톱 손상도에 관한 연구
- 천연매염제가 헤나의 모발염색성에 미치는 영향
- 아유르베다 체질과 청소년기의 여드름 상태에 관한 상관성 연구
- 미용업체 내부마케팅이 종사원의 직무만족, 고객지향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 우울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 피부 관리가 개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체의 미의식에 따른 서양메이크업과 의복에 관한 연구
- 조선 전기의 메이크업과 동시대 중국과 일본의 메이크업 비교
- 불한증 고열 요법 이용자들의 형태 및 인식이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
- 메이크업에 표현된 미적 가치
- 팜므 파탈 이미지와 스모키메이크업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 한국인체예술학회지 논문심사규정 외
- Body Painting을 활용한 TV 광고 사례연구
- 조선시대와 청대 인물화에 나타난 화장문화 비교 고찰
- Omega 6 계열 불포화지방산의 세포독성과 항산화 효과
- 대학 미용학과 졸업생의 무시험 미용사 면허 발급 타당성에 관한 연구
- 뷰티(美)산업의 성공전략 분석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