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rue Meaning of Child-Centered Education in J. Dewey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저자명
- 송도선(Song, Do-Seon)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16집, 147~1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29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듀이의 ‘아동 중심 교육’ 개념의 진의를 탐구하는 데에 있다. 먼저 그에게 있어 아동 중심 교육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듀이에 있어 ‘아동 중심 교육’이라는 말은 인생과 경험과 학습의 주체인 학습자를 위해 모든 교육적 장치를 재구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학생이 일방적으로 주도하는 교육이 아니라, 교사의 사려 깊은 지도를 요청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교육의 목적과 방법에 있어 듀이의 아동 중심 교육 개념과 관련된 부분을 다루었다. 교육의 목적은 아동 자신의 성장을 위해 내발적으로 나와야 한다는 내용을 고찰하였다. 듀이는 외부에서 학습자에게 부과되는 교육 목적을 비판하고, 교육의 목적도 학습자의 경험 활동 과정에서 자신의 필요에 의해 나오는 것일 때 교육적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다만 교사의 협력적인 지도와 안내가 필요하다는 점도 분명히 밝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흥미를 중시하는 교육 방법론을 고찰하였다. 듀이가 교육에서 학습자의 흥미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는 흥미가 있을 때 활발한 상호작용이 일어나며 학습자 스스로 지속적인 노력을 해나갈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자의 중요한 임무는 현재와 미래의 경험 성장을 동시에 고려하여 환경이나 학습 자료를 현명하게 선택하여 제공하는 일이라고 간주했다.
영문 초록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ue meaning of 'child-centered education' in J. Dewey. To begin with, the phrase of 'child-centered education' in him do not implies that students lead entirely learning, but is a merely declaration about the essential intent of education, that is, all educational efforts are for the sake of learner's continuous growth.
The purpose of education in his theory of education can be regarded as learner's growth of experience. While he criticized an imposed and ultimate aim from outside, he said an aim as ‘end in view’ has meanings only when it comes from learner's own need or from interaction with educator in the process of learning or activity.
Dewey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a learner's interest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he thought a child and his educational material interact actively and the learner makes efforts for himself to grow consistently, only when he has interest. Thus, educator's major business is to choose, arrange and suggest experiences which could have student engage his present activities, and at the same time, promote having desirable future experienc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순열의 수에 관한 등식의 증명과 규칙에 대한 연구
- IB DP와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사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선택 활동 기반의 초등학교 2학년 수업 분석: 덧셈과 뺄셈 단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