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ducational of Interpretation about “Analytic of Aesthetic judgement” on Kant's『Critique of Judge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저자명
- 박청미(Park, Cheong Mi)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16집, 117~14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29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효율성 위주의 현대 사회 문화가 반영되는 교육현상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칸트의 『판단력비판』을 전거(典據)로 삼아 교육현상 비평의 준거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판단력비판』이 존재론 인식론, 윤리학적 통일성을 담지할 수 있는 지점이 합목적적 자연관과 미감적 판단의 관계를 통해 규명될 수 있음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 내용을 교육현상의 본질을 이루는 지식, 배우는 이와 가르치는 이의 관계로 해석한다. 이때 칸트의 합목적적 자연관은 지식의 이념적 상을 갖게 되고, 미감적 판단이 구성해내는 아름다움과 숭고의 감정은 지식의 표상을 이루게 된다. 또 배우는 이와 가르치는 이의 관계는 표상된 지식을 통해 이념적 지식을 계속적으로 추구해 갈수 있게 하는 지식 추구의 힘을 얻는 과정에서, 합목적적 쾌감을 동반하는 ‘미적체험’, 즉 아름다움과 숭고를 통해 성립된다.
이렇듯 『판단력비판』을 통해 ‘미적체험’으로 요약되는 교육현상 비평의 준거를 살펴본 결과, 현대사회의 교육현상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했을 때 현대의 가르침이란, 효율성 위주의, 반성적 판단이 개입될 수 없는 곳에서 반성의 쾌를 불러일으키는 것이어야 한다는 결론을 이끌어내었다. 결론의 명제가 지닐 수 있는 이론적, 행위적 실천의 힘은 무엇보다 기존의 학교 위주의 교육과 관련한 규정적 개념 위주의 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통해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Analytic of aesthetic judgement' on Kant's『Critique of Judgement』 based on the educational intrinsic principle, which has relation to provide a perspective in a field of educational study-educational criticism. For all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the union in a side view of a thing, as ontology, epistemology, ethics, which constitutes foundation of philosophy, to provide a perspective in a field of educational study. Kant's 『Critique of Judgement』meet the needs of this.
In 『Critique of Judgement』, Kant solve the problematic of the human's ability of reason. Kant's problematic is to seek for a ground of the union between the natural concept-epistemology and the concept of the freedom-ethics. Kant's problematic like these constitutes a fundamental problematic in education which is concerned with a acquirement of knowledge, as a practical knowledge as well as a theoretical knowledge.
It seems that Kant's aesthetic experience have the union in a side view of a thing, as ontology, epistemology, ethics, which constitutes foundation of philosophy. So taken in the totality of these problem-solving from which it emerged, it may thus provide a more fruitful point of departure for educational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ast Asian law studies Vol.2 No.3 Contents
- 博采众长:民国时期的比较婚姻法视域
- 新时代“枫桥经验”视域下民事案件诉前调解功能异化风险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