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군신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교육원형
이용수 632
- 영문명
- The Korean Educational Archetypes on the Dangun Mythology(檀君神話)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 저자명
- 목영해(Young Hai Mok)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14집,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3.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조신화인 단군신화, 그 중에도 특히 웅녀의 탄생과정 부분을 교육적 안목에서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교육원형을 추출할 수 있다. 첫째, 교육의 본질은 인간됨의 과정이다. 둘째, 교육은 학습자 중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은 동물적인 본능이나 충동을 제거 통제하는 내용, 도덕과 문화에 관련한 내용, 분별심을 갖지 않게 하는 내용 등 인성교육에 관련한 것이 중심을 이루어야 한다. 넷째, 교육적 인간상은 협동적으로 생산하는 인간이다. 위의 교육적 원형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현재 우리 교육은 교육원형에서 매우 벗어나 있으며 이런 이유로 심각한 병리현상에 빠져 있다.
영문 초록
A mythology is involved with universal thought form that named as archetype by Jung. The archetype creates images or visions that correspond in normal walking life. A originate of archetype is a permanent deposit in the mind of an experience that has been constantly repeated for many generations. Ignoring seriously and continuously the archetype, a person and society get fallen the symptoms of the abnormal..
The Dangun mythology has the Korean educational archetypes, we are able to extract educational archetypes from the Ungney(熊女)Story in the Dangun mythology. In the educational view, the Ungney Story that a bear is switched into human being on guide of Hwannung(桓雄) as a king and a god is a educational discourse.
The educational archetypes on the Ungne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is a cultivating process the human animal to the human being.
Second, education is the learner-centered activitie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a successful education is readiness on emotional domain of learner.
Third, role of teacher is guidance and helping to learners activities.
Fourth, curriculum is consisted with what eliminate wildness out and cultivate the human nature on.
Recently, the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Korea Society have been ignoring the Korean archetypes, and so the Korean education has a serious symptoms and falls into big and deep difficul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