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재이민의 세계와 코레안 아르헨티노
이용수 55
- 영문명
- The World of Again-emigration and Re-emigration and Korean Argentino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이상갑(Sang-gab, Lee)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1輯, 507~5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various studies have been the meantime in Chian · Russia and CIS · the Americas(America · Canada) korean literature from the research on the basic materials to the deep research. But there is no study in the Argentine korean literature that has emigration's history above forty years since 1965.
The character of the first generation Argentine korean literature is far different from the first generation China · Russia and CIS · America korean literature. The latter show the independence and nation based on the macroscopic discourse, but the former from the start shows well the macroscopic discourse, but the former from the start shows well the sufferings of life that they have experienced there based on the microscopic discourse. Especially The latter shows the settlement-mind, but the former the temporary stay-mind. Because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and furthermore the heterogeneous culture shocked them. Therefore they go to America and Canada again, or return to Korea.
Ha Rin Maeng, the typical writer in argentine korean literature, primarily describes the problem of going to America and Canada again, or returning to Korea. His characters keep their distance to the natives from the magic glass and windows in picture. This shows the emigrants consciousness that keeps their distance to Argentine.
The first generation in argentine korean literature shows mainly the conflicts to the natives, but the second generation lives proudly there. That is to say, the argentine korean literature expects the bridge-building of the second generation. It the second generation handles the role of the bridge-building, we shall expect the third 'korean argentino.' In conclusion, the argentine korean literature grows to expect the third korean argentino.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터 벤야민의 언어철학 고찰
- 조벽암 시집 『鄕愁』에 쓰인 몇 가지 시어의 의미에 대하여
- 현대 환상서사에 나타난 마녀 캐릭터 변화 분석
- 1930년대 조선문화의 정체성과 로컬 '향토'의 상상
- 서정주 문학의 시공성(時空性) 연구
- 산신제에 수반되는 '마짐시루'의 의미와 성격
- /ㄹ/탈락 규칙 재고
- 佛敎敍事의 作話方式과 傳奇小說의 相關性(Ⅱ)
- 소설과 영화의 서사기법 비교 연구
- 〈노처녀가〉를 통해 본 근대국어의 텍스트언어학적 특징
- 파생어 형성 과정의 형태론적 기술
- 백석 시에 나타난 음식과 무속의 호명 의미 고찰
- 語文硏究 편집 및 심사규정 외
- 해방이후 안희남 소설에 나타난 '농민'의 의의
- 역/재이민의 세계와 코레안 아르헨티노
- 고전소설에 나타난 노제(路祭)의 문학적 의미
- 박용래 시의 문법적 접근
- 전후 '자유' '개인'과 민족 주체의 문제
- 允摯堂 文學의 近代性 認識에 대한 再考
- 洪萬宗의 長歌 論評文 考察
- 시와 선(禪)의 상관성 한 고찰
-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에서 ‘그네’(추천)의 방언형 ‘근듸’ 계열의 형성과 발달에 대한 일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