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洪萬宗의 長歌 論評文 考察
이용수 26
- 영문명
- A Consideration on the Article of Man Jong Hong's Criticism about Janga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金善祺(Sun-ki, Kim)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61輯, 165~18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rchives for the critic of the Korean poetry are rather rare while the materials for the words in Chinese poetry are handed down sufficiently. It is not easy to find the material of explanation and criticism for the authors and poetry in the cases of poetic words in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articles of criticism for the Janga by Man Jong Hong has a very valuable meaning in the value of as a material.
The appearance of the articles of criticism for Janga by Man Jong Hong. was available because of the long term preparatory works from his predecessor. Especially, the fact that criticism was written at the collection of our poetry in one place in the Jibongtuseol written by Su Kwang Lee made a direct influence on the Man Jong Hong's articles of criticism for Janga. It is found in the similarities in the genre and description style for the sijo · gasa · folk sone when these two materials are compared.
However, the work of Man Jong Hong was developed to the new modification not only staying in the simple acceptance. It was an unprecedented that he selected and narrated independently on the 14 poetry which were popular at that time not only changing the order of arrangement for the three formats and substitution of the works taken as examples with the other ones.
Especially, the critical work of Man Jong Hong is entitled to be evaluated as a labor taking masterpiece which revealed out the unique protectional principle for the poetry written in native language expressing that the our poetry are not inferior to the precious works of China. However, it is something to be desired that he finished his criticism on the 14 poetry in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criticism on the Korean poetr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터 벤야민의 언어철학 고찰
- 조벽암 시집 『鄕愁』에 쓰인 몇 가지 시어의 의미에 대하여
- 현대 환상서사에 나타난 마녀 캐릭터 변화 분석
- 1930년대 조선문화의 정체성과 로컬 '향토'의 상상
- 서정주 문학의 시공성(時空性) 연구
- 산신제에 수반되는 '마짐시루'의 의미와 성격
- /ㄹ/탈락 규칙 재고
- 佛敎敍事의 作話方式과 傳奇小說의 相關性(Ⅱ)
- 소설과 영화의 서사기법 비교 연구
- 〈노처녀가〉를 통해 본 근대국어의 텍스트언어학적 특징
- 파생어 형성 과정의 형태론적 기술
- 백석 시에 나타난 음식과 무속의 호명 의미 고찰
- 語文硏究 편집 및 심사규정 외
- 해방이후 안희남 소설에 나타난 '농민'의 의의
- 역/재이민의 세계와 코레안 아르헨티노
- 고전소설에 나타난 노제(路祭)의 문학적 의미
- 박용래 시의 문법적 접근
- 전후 '자유' '개인'과 민족 주체의 문제
- 允摯堂 文學의 近代性 認識에 대한 再考
- 洪萬宗의 長歌 論評文 考察
- 시와 선(禪)의 상관성 한 고찰
-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에서 ‘그네’(추천)의 방언형 ‘근듸’ 계열의 형성과 발달에 대한 일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