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핀란드 교육 성공 요인의 중층 구조 분석
이용수 3,702
- 영문명
- Social conditions for Finland's educational success and an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success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성열관(Youl-Kwan Sung)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9권 제3호, 179~20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핀란드 교육성공의 요인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성공을 가능하게 한 사회적 조건을 살펴본 후, 핀란드 사례가 한국 교육에 의미하는 바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첫째, 근저 요인으로서는 경계국가로서의 공동운명체 인식, 급속한 사업화화, 사회민주당의 지속가능한 리더쉽, 복지국가에 대한 사회적 합의 등이 있었다. 주요 정책요인으로는 1960년대 종합학교 정책, 1970년대의 중등후기 교육정책, 1980년대 이후의 다양한 학교교육 정책을 살펴보았다. 지수화된 요인으로는 학교간 변량, 저성취학생비율, 학습흥미도 등을 지적하였다. 핀란드 교육은 협동과 평등을 기조로 세계적으로 우수한 학업성취를 보여준 개혁 모델을 제공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으며 한국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상당하다. 한편 핀란드 교육은 한국 교육과의 일부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사회체제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표면적 교육정책의 단순한 모방보다는 복지국가에 내재된 교육체제라는 근저요인에 대한 관심이 보다 중요하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The paper investigates the structure of success factors of Finland education and social conditions that make this success possible. And this study also discusses about what could be lessons from Finland and how it means to Korea education. First, fundamental factors are pointed out as the status of border country and, in consequences, collectivism, rapid industrialization, sustainable leadership of social democratic party, and social consensus of welfare state. Second, as major policy factors, Finnish government has engaged in a reform process of comprehensive school reform in 1960, post-secondary education reform in 1970, and related schooling policies based on welfare state system since 1980s. Third, as factors represented by indexes, researchers have observed the variance between-school achievement, the ratio of low achievement students, and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of subject matters. Finland education has a meaning in that it becomes a desirable reform model accomplished through the cooperative and equal ways that are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in key areas and attain the international academic success of secondary schooling like the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목차
국문초록
Ⅰ.서 론
Ⅱ.핀란드 교육성공 요인의 중층 구조
Ⅲ.핀란드 교육 성공의 의미와 적용가능성 논의
Ⅳ.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교육의 글로벌 스탠다드 의미와 유형 분석
- 미국 기숙학교의 특성 분석
- 미국 대학의 전공선택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한국 대학의 전공선택 프로그램 개발 시사점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핀란드 교육 성공 요인의 중층 구조 분석
- 제 삼세계 문해교육의 사회 · 정치적 특성 분석
- 연변조선족자치주 민족사교육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적용
- 고등교육서비스시장개방에 대한 미국 내 쟁점과 논쟁
- 한국과 미국의 입학사정관 교육훈련 프로그램 비교연구
- 독일 학계 내 여성의 경력개발제도 연구
- 미국과 일본 대학의 입학사정관제 운영 사례와 시사점
- 독일 대학의 자율성 확대를 위한 개혁 동향의 비판적 고찰
- 필리핀의 평화교육과 평화과정
- 주요국의 학교장 연수 프로그램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