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 삼세계 문해교육의 사회 · 정치적 특성 분석
이용수 610
- 영문명
- Socio-Political Analysis on the Literacy Movement in the Third World with the Cases of Brazil and Tanzania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유성상(Yoo, Sung-Sang)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9권 제3호, 249~27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해교육은 국제사회의 교육개발협력의 핵심적 위치를 차지해 왔다. 기본권적 권리로서의 문해교육에서부터 기능문해, 그리고 담론문해로의 문해담론의 변화는 실천수준에서 그리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브라질과 탄자니아의 사례를 통하여 제 삼세계 국가 발전의 틀 속에서 문해교육이 차지했던 의미와 국가적 수준의 문해교육운동의 특성을 사회, 정치적 수준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브라질의 PNA, MOBRAL, MOVA, 그리고 탄자니아의 UNDP- UNESCO 문해교육프로그램 및 탄자니아 정부의 1971~81년 동안의 중장기 문해교육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1960~70년대 제 삼세계의 문해교육은 그 자체로 정치적 운동이었으며, 또한 문해교육의 본질적 목적인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운 인간’을 추구하는 탈정치적 목적이 동시에 추진되었다. 두 국가를 통한 제삼세계의 문해교육은 다양한 의미로서의 실천활동을 보장하도록 하여 문해교육에 참여하는 문해학습자의 다양한 사회, 정치, 문화, 경제적 관심사를 확대할 수 있도록 기획되고 구안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Literacy education has been put at the center of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As literacy traditionally means basic adult literacy as a primary human right, the literacy discourse has been argued in the form of ‘functional literacy,’ ‘cultur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and ‘discourse literacy.’ In this sense,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national literacy programs of Brazil and Tanzania at the socio-political dimension while two countries put adult literacy to a priority for national development. Mass literacy programs such as ‘the National Literacy Plan[‘PNA’],’ ‘MOBRAL,’ and ‘MOVA’ for Brazil and ‘UNDP-UNESCO literacy program’ and national literacy campaign between 1971~81 for Tanzania were reviewed in an analytic way. Minizing Brazilian educator's(Paulo Freire) and Tanzanian president's(Julius Nyerere) influences upon literacy movement in both countries, this study in conclusion reveals that literacy education in the Third World had been political in itself during 1960~70s and the politicalized actions of literacy campaign were pursued in order for de-politicized purpose, so called ‘humanization’ and ‘decolonization’ for freedom at the same time.
목차
국문초록
Ⅰ.서 론
Ⅱ.브라질의 문해교육
Ⅲ.탄자니아의 문해교육
Ⅳ.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교육의 글로벌 스탠다드 의미와 유형 분석
- 미국 기숙학교의 특성 분석
- 미국 대학의 전공선택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한국 대학의 전공선택 프로그램 개발 시사점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핀란드 교육 성공 요인의 중층 구조 분석
- 제 삼세계 문해교육의 사회 · 정치적 특성 분석
- 연변조선족자치주 민족사교육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적용
- 고등교육서비스시장개방에 대한 미국 내 쟁점과 논쟁
- 한국과 미국의 입학사정관 교육훈련 프로그램 비교연구
- 독일 학계 내 여성의 경력개발제도 연구
- 미국과 일본 대학의 입학사정관제 운영 사례와 시사점
- 독일 대학의 자율성 확대를 위한 개혁 동향의 비판적 고찰
- 필리핀의 평화교육과 평화과정
- 주요국의 학교장 연수 프로그램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