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변조선족자치주 민족사교육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적용
이용수 134
- 영문명
- National History Education of Ethnic Chinese-Koreans and Applicability of Digital Storytelling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해영(Jin, Hai Ying) 김성봉(Kim, Sung Bong)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9권 제3호, 227~24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중국 조선족사회의 해체설, 민족교육의 위기설, 민족정체성의 불투명 등 부정적인 설들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진단되고 상응한 대응책이 마련되고 있다. 하지만 민족주체의식을 확보할만한 교과 설계에 관한 구체적인 대안이 적거나 결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원인을 학교교육과정의 민족성 결여, 사회교육의 부진과 민족문화의 침체 내지는 민족교육이 현대화와의 상충, 특히 민족사교육의 부진으로 민족의식이 희박해졌음에 있다고 판단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는데 주력하였다. 모색한 대안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도입하여 민족사 및 민족문화를 사회전반에서 활성화시키자는 것이었다.
영문 초록
The ethnic Chinese-Korean community has recently been presented some negative public opinions of which the community may collapse, the education of national history is in crisis, and their ethnic identity is not clear and so on. Furthermore, this phenomenon has been diagnosed by a number of scholars and then countermeasures prepared to be taken. The preceding study shows that, of many of these measures, however, it is hard to find more concrete alternatives to help us secure the national sense of sovereignty, rather even the present measures have the lack of actuality.
This study focuses on presenting alternatives to re-inspire the national consciousness, as the reason to have the weak sense is determined to be attributable to an insufficiency of ethnicity education, an inactive social education, a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a slump of the ethnic culture and a demand of modernization, and, in particular, a poor progress of national history education. Therefore it seeks the possibility how to witness a cultural renaissance over ourwhole society, by employing a digital storytelling as a visible action derived from the gathered alternatives in order for the national history and national culture to revive and be prevalent in our ethnic Chinese-Korean society.
목차
국문초록
Ⅰ.들어가는 말
Ⅱ.민족의식 확립으로서의 민족사교육
Ⅲ.대안 실천: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한 민족사교육
Ⅳ.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교육의 글로벌 스탠다드 의미와 유형 분석
- 미국 기숙학교의 특성 분석
- 미국 대학의 전공선택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한국 대학의 전공선택 프로그램 개발 시사점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핀란드 교육 성공 요인의 중층 구조 분석
- 제 삼세계 문해교육의 사회 · 정치적 특성 분석
- 연변조선족자치주 민족사교육과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적용
- 고등교육서비스시장개방에 대한 미국 내 쟁점과 논쟁
- 한국과 미국의 입학사정관 교육훈련 프로그램 비교연구
- 독일 학계 내 여성의 경력개발제도 연구
- 미국과 일본 대학의 입학사정관제 운영 사례와 시사점
- 독일 대학의 자율성 확대를 위한 개혁 동향의 비판적 고찰
- 필리핀의 평화교육과 평화과정
- 주요국의 학교장 연수 프로그램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