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국시대 미용문화에 관한 연구
이용수 380
- 영문명
- A study of Beauty Culture in the Three Kingdom Period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이미희(Mi hee Yi)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10권 제1호, 105~1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ree Kingdoms interchanged each other and they were opposed and the ancient culture which is gorgeous they made. The format of beauty culture and the ornament of three Kingdoms are different in some way but the white skin well does and the thing which does is the same make up with the white powder. Koguryo experienced the
influence of Chinese make-up and the lip to be small and the eyebrow drew deep shortly. From Shilla the white skin and there was an ideology which prefers the clean body. So did the man and woman all make up. Like this attitude in the beautiful flesh the beautiful spirit follows in order to believe is. The make-up feature of the Baekje people ‘Si Bun Mu ju', the powder, is a make-up which does not paste a use but the lipstick. When China and comparing, the Baekje make-up is not deep. The beauty culture of three Kingdom is similar but a little differen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hich sees the beauty care culture of three kingdoms should have been come explanation how, is to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삼국시대 사회 문화적 배경
Ⅲ. 삼국시대 미용문화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체예술학회지 논문심사규정 외
- 미디어 이용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이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삼국시대 미용문화에 관한 연구
- 20~30대 직장여성의 외모 중요도에 따른 미용성형행동 연구
- 중간린스가 컬 웨이브 형성 및 모발손상에 미치는 영향
- 현대대중가수들의 스타일에 나타난 에로티시즘적 경향
- 보헤미안 패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표현 연구
- 꽃담무늬를 이용한 아트메이크업에 대한 연구
- 미용전공 대학생의 가치관과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의 관계연구
- 미용현장에서 Hair Stream의 形象에 대한 Hair Cut의 對處
- 미용실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서비스품질 디스플레이, 정보원활용에 대한 상관관계
- 한국 공포영화의 특징과 여귀 분장 연구
- 고구려와 투르판 머리형태의 유사성 연구
- 사회문화적 압력과 성인남성의 외모관리행동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