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search on the Correlation of Lifestyle, Service Quality, Display, and Utilization of Informants of Beauty Shop Customer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류선이(Ryu Sun Yi) 박옥련(Park Ok L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10권 제1호, 169~18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the factors of Lifestyle, service quality, display, utilization of informant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life style and service quality, between lifestyle and display, and between display and the source of information. Customer's various lifestyles were classified as price-oriented, trend oriented, brand oriented, convenience oriented, appearance oriented. This classification was meaningful and showed high level of reliabilit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ifestyle and service
quality was found specially in appearance oriented customers. It was also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lifestyle and display is significant in appearance oriented customers.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display and utilization of informant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in personal service, external/internal service, technical service, after service under human resource information factor. I hope the above 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would be utilize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beauty shop custom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대대중가수들의 스타일에 나타난 에로티시즘적 경향
- 꽃담무늬를 이용한 아트메이크업에 대한 연구
- 삼국시대 미용문화에 관한 연구
- 중간린스가 컬 웨이브 형성 및 모발손상에 미치는 영향
- 사회문화적 압력과 성인남성의 외모관리행동 간의 관계
- 미용실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서비스품질 디스플레이, 정보원활용에 대한 상관관계
- 20~30대 직장여성의 외모 중요도에 따른 미용성형행동 연구
- 보헤미안 패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표현 연구
- 미용전공 대학생의 가치관과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의 관계연구
- 한국 공포영화의 특징과 여귀 분장 연구
- 고구려와 투르판 머리형태의 유사성 연구
- 미디어 이용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이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미용현장에서 Hair Stream의 形象에 대한 Hair Cut의 對處
- 한국인체예술학회지 논문심사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연구 제105호 목차
- 디지털 숏폼 시네마의 감각적 전환: 포스트-연속성과 플랫폼 디스포지티프
- 생기적 물질론으로 본 에코시네마의 물질적 전회: 하마구치 류스케의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