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 개념에 따른 중도 · 중복 장애아 교육적 관계 구성
이용수 320
- 영문명
- An analysis on educational relationship with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th Bollnow's notion of "pedagogical atmosphere"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숙정(Rhie, Suk-Jeong)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3권 제4호, 175~19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3,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도 · 중복 장애에 대한 인간학적 이해를 기초로 해당 학생과의 교육 논의는 쌍방 간의 의사소통이 기본 축이 되며, 특히 양자 간의 손상된 의사소통이 논제의 출발점으로 자리매김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중도 · 중복 장애학생들과의 교육, 곧 의사소통을 통한 교육적 관계를 구성하기 위한 시론적인 논의로서 중도 · 중복 장애학생의 교육현실을 의사소통 중심으로 살펴보고, 중도 · 중복 장애학생과의 교육의 본질을 교육인간학자인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 개념에 의거하여 규정하고, 교육적 관계를 구성했는데, 이들과의 본래적 교육적 관계는 첫째 “근원적 마음씀”(Sorge)으로서 타자에 대한 책임의 관계, 둘째, Provocation 과 Evocation 으로서 지평 융합의 관계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philosophical investigation to explicate the following three primary inquiries in the Otto F. Bollnow's notion of "pedagogical atmosphere" to the desirable relationship with student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SMD): How looks the educational reality of student with SMD? What is the constitution of Otto F. Bollnow's notion of "pedagogical atmosphere" that generates human educational phenomena? How could be developed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with student with SMD, according to Bollnow's idea? These are to reconceptualize the genuine natur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going beyond the scientific notion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that is hierarchical, uni-directional, and power-lade. The thematic search for those three research inquiries in Bollnow's anthropological works provides us a phenomenological insights on human being and child-teacher relationship, related to the existenti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according to Heidegger. In such atmosphere child with SMD and teacher get into the process of mutual Bildung, I e the relationship of the fundamental care("Sorge") of and to the fusion of different horizons of each other through the circle of provocation and evocation. This relationship would be truly pedagogical as it relates a chid to a teacher and vice versa, within which they come to belong to mutual hope for each other.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특수교육의 학사적(學史的) 일 연구
- 중등 특수교사 임용시험 출제 경향 분석
- 통합된 장애유아의 변화를 통해 본 협력교수의 이점
-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 개념에 따른 중도 · 중복 장애아 교육적 관계 구성
- 중증 장애아 조부모의 경험 및 역할에 대한 질적 연구
- 수학 학습 문제를 가진 학생들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력에 관한 집단 설계 연구의 질 분석
- 한국특수교육학회 연구윤리규정 외
-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및 성인기 전환과 관련된 자기결정 개념의 실제적 적용에 관한 질적 연구
- 통합 교육적 맥락에서 살펴 본 미적 교육(F. Schiller)을 통한 인간의 윤리적 성장
-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정상시력 이하로 시력이 약한 학생들의 교육 실태 및 지원 요구 조사
-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적응행동 실제적 기술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사고 및 문제해결력이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영아 그림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