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및 성인기 전환과 관련된 자기결정 개념의 실제적 적용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917

영문명
A Qualitative Inquiry on the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Self-Determination and Application of Self-Determination for Transition to Adulthood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이숙향(Lee, Suk-Hyang)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43권 제4호, 47~7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3.30
4,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학생들이 자기결정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미래 성인기 전환 및 학교생활에 관련하여 자기결정의 개념을 실제적으로 얼마나 적용하고 있는지 장애학생 본인들의 생각을 통해 직접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33명의 장애학생들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면담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4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1) 자기결정에 대한 인지도, (2) 성인기로의 전환을 위한 꿈과 계획, (3) 이상적인 성인역할모델과 그와 관련된 중요기술들, (4)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 학교생활에 있어 필요한 지원.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장애학생들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지도를 향상하고, 성인기로의 성공적인 전환과 관련하여 자기결정을 실제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제언들이 제공되었다.

영문 초록

Self-determin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best practice for successful transition as well as an index for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ttentions have been paid to promotion of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sith disabilities, many research on self-determination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However, given that self-determination should be applied with a careful consideration of cultural context, it is needed to study the concept of self-determination within Korean cultural context. Investigating perceptions on self-determination may be an entry point for a study of self-determination within cultural context. Especially, considering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primary causal agencies of self-determina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self-determination and degree to which they apply the concept of self-determination for transition to adult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to whi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perceive self-determination and they can apply the concept of self-determination for transition to adulthood by listening to students' opinions and thoughts. For this purpose, 3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ere educated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were interview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four themes emerged as follows: (a) awareness of self-determination, (b) vision and plan regarding transition to adulthood, (c), ideal adult role model and important skills needed to be like the role model, and (d) supports needed in schools for successful transition to adulthood. Based on the findings, further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self-determination for transition to adulthoo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숙향(Lee, Suk-Hyang). (2009).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및 성인기 전환과 관련된 자기결정 개념의 실제적 적용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3 (4), 47-74

MLA

이숙향(Lee, Suk-Hyang).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및 성인기 전환과 관련된 자기결정 개념의 실제적 적용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3.4(2009): 47-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