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홀리스틱 교육 관점을 토대로 한 사회적 공격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121
- 영문명
- A Study on Social Aggression Scale for Elementary School A Study on Social Aggression Scale for Elementary School Girls Development and Its Validation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신미경(Shin, Mi Kyung) 이지연(Lee, Jee Yon)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73~9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Galen과 Underwood(1997)의 사회적 공격성 개념에 기초하여, 초등학생 여아의 사회적 공격성을 측정하는 사회적 공격성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국내의 여아의 공격성에 관련된 연구와 사회적 공격성에 관련된 국외연구들을 참고하여 이론적 구인체계를 구성하고 문항을 작성하여 인천․경기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4․5․6학년 여아들에게 예비검사와 본 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예비검사와 본 검사 자료 수집결과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3요인, 29문항으로 구성된 초등학교 여아의 사회적 공격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또한 척도의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사회 심리적 적응 및 정서조절과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는데, 그 결과 사회적 공격성은 공격적 표현을 하는 정서조절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 사회심리적 적응과는 사회적 공격성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신체표현만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ocial aggression scale, based on social aggression definition by Galen and Underwood. Theoretical systim on social aggression definition organized, considering definitions by Galen and Underwood and new items for this study are created. 311 gir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 was surveyed. validity is verified by doing pilot survey and regular surveyed. social aggression scale, which are composed of three factors with 29 items show high correlation between items. Reliability from inter-item consistency reliability is also high. correlation analysis suggests that social aggression has strong interrelationship with emotion regulation. Finally, the study's limits and further
discussion a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