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30년대 시문학의 장(場)과 여성시의 한 방향
이용수 172
- 영문명
- The field of poetry in the 1930s and a direction in female writers’ poems : Focusing on Yoonsook Mo's (1933) early work, A Shiny Zone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진희(Kim Jin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68輯, 229~2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1930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oetry, is when the modern poetics was established, via modernization of poetic techniques and broadening and deepening of thematic awareness. Yoonsook Mo, a female poet, started her career in this field of literary world. The status for female poets was hardly secured in the early 1930s. The appearance of Yoonsook Mo, with high praise of ‘the one and only female poet Joseon has,‘ was a remarkable event in the poetical circles of the 1930s. However, the criticism on Mo has mainly concerned her pro-Japanese creations and activities in the late 1930s, until recently.
This paper investigates what import and implication Mo‘s works carry in the field of the contemporary literature. It looks away from the perspective of viewing her works in the early 1930s as preparation for pro-Japanese verses in the later years. It is an attempt not only to render proper evaluation to Mo‘s works which were composed prior to pro-Japanese activism, but to have a general understanding of her word of literature, as well.
The mainstream criticism on the works in that period was principally regarding Mo‘s works from a viewpoint of genderization of sentiments. The interests of the major literary critics in Yoonsook Mo per se were considerable, but they generally ended up in criticizing sentimentalism, which eventually drove female poets out of the center of the literary circles.
Despite the fact that the literary world was concentrating on sentimentalism and neglecting female writers who sang of nation and country, Mo created works of nation and country due to the combined influence by the familial environment with her father being an activist for national independence, the reinforced nationalism in association with the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 and her temperament, habitus, which was bound to have interests and participate in the reality. Considering that the subject of nation and country was mainly for male writers, these works of this female poet is deemed notable. The implication Mo‘s works are present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noticeable in that she made the first social connection through poems by recognizing ‘nim‘ (dear) as a nation in the social dimension, not in the individual dimension.
목차
1. 1930년대 시문학사와 여성시인의 위상
2. 시단(詩壇)의 주요 경향과 감상성의 젠더화
3. 민족구원의 의지와 ‘님’의 시학
4. 식민지 여성시인으로서의 정체성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체의 자기확인’을 위한 죽음 순례
- 무조사 명사어구 구문의 통사 구조
- 1930년대 시문학의 장(場)과 여성시의 한 방향
- 제의적 정체성과 디아스포라 문학
- 김지하의 시와 탈식민성
- 한국언어문학회 회칙 외
- 대학 글쓰기 교재의 비교 분석
- 제주방언의 보조동사 ‘-불다’에 관한 형태론적 연구
- 「경희」의 페미니즘 수사 전략
- MMORPG의 안타고니스트 연구
- ‘공학인증제’와 글쓰기교육
- 언어-문학영재와 시적 언어능력
- 재일조선인 문학비평의 민족문학적 의미
- 염상섭의 해방직후 소설에서 ‘민족’을 자각하는 방식과 계기
- 『북향보』의 의미담론 연구
- 국어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시론
- 朴趾源 散文의 문체적 특성(2)
- 「자화상」에 나타난 자아인식의 시적 형상화
- 국어 호칭어 체계 수립을 위한 사적 고찰
-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미(語尾)에 대한 영어설명 고찰
- 국어 사동문의 문법성과 사동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