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학인증제’와 글쓰기교육
이용수 153
- 영문명
- ABEEK Accreditation and Writing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최상민(Choi Sangmi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68輯, 165~18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any colleges expect that they can improve the logical power of express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power, etc. through the writhing course. For this, they are forcing the possibility of the Intergrated Liberal Arts Education. The writing course is managed a compulsory subject with English subject in almost all the colleges which are carrying out ABEEK Accreditation. This paper is aimed at a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characteristic of the writing course and the contents which are required in the standard Accreditation for Engineering.
On the basis of this don't accord the demand of the ABEEK Accreditation in the current writing textbook. Both contents and methods do so. First of all, in the contents, there aren't any reflection with constant plan and system recognition level that is necessary for the current points, economy, management, environment, law, etc. and materials for the moral which is necessary for the student of engineering. Also, In the methods, It is not showed writing for problem-solving process and formation for supporting the efficient communication.
Therefore, to improve this, it is required that contents organization should be fitted to the writing principle and fact, and that teaching materials editing should be able to emphasize learner's self-leading.
목차
1. 문제의 제기
2. ‘공학인증제’의 요구와 <글쓰기> 교과의 성격
3. 현행 <글쓰기> 교재에 대한 검토
4.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체의 자기확인’을 위한 죽음 순례
- 무조사 명사어구 구문의 통사 구조
- 1930년대 시문학의 장(場)과 여성시의 한 방향
- 제의적 정체성과 디아스포라 문학
- 김지하의 시와 탈식민성
- 한국언어문학회 회칙 외
- 대학 글쓰기 교재의 비교 분석
- 제주방언의 보조동사 ‘-불다’에 관한 형태론적 연구
- 「경희」의 페미니즘 수사 전략
- MMORPG의 안타고니스트 연구
- ‘공학인증제’와 글쓰기교육
- 언어-문학영재와 시적 언어능력
- 재일조선인 문학비평의 민족문학적 의미
- 염상섭의 해방직후 소설에서 ‘민족’을 자각하는 방식과 계기
- 『북향보』의 의미담론 연구
- 국어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시론
- 朴趾源 散文의 문체적 특성(2)
- 「자화상」에 나타난 자아인식의 시적 형상화
- 국어 호칭어 체계 수립을 위한 사적 고찰
-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미(語尾)에 대한 영어설명 고찰
- 국어 사동문의 문법성과 사동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