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救龍談>의 사적 전개와 변이
이용수 144
- 영문명
- A Study on Transmission and Its Meanings of Guryongdam(AT.738)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노영근(Young-keun, Noh)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59輯, 75~10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mong the various narratives, we can classify the Guryongdam (AT.738). Its core structure is as next: dragon's fight-man's help-decision of victory-reward. This type distributed in Europe and East Asia. But it preponderance in East Asia.
In Korean sources, this type can find all the narrative genres as myth, folktale, legend and novel. The most oldest source is 'Getaji(거타지)' recorded in Samkukyusa(三國遺事). In combination with Folktale which already existed in Korea and real person named 'Getaji' make a 'Getaji Story'. And according to this process, folktale changed to historial narrative. This is accepted in 'Jakjegun(작제건)' recorded in Koreasegye(고려세계) and 'Yongbiuchenga(龍飛御天歌)'. And next, it composed as 'Kunwungbonpuri(군웅본풀이)' in Jeju-do. Finally, it accepted in Wangnungjeon (왕능전) as episodically.
The structure of this type can extended in social relation. Then, we can replace the elements of this type as this: dragon-power, field-organization, men-member of organization, archer-man of organization. So this type can be analysed as a conservative story which protect the existing system and for this reason, Guryongdam type could varied many genres.
목차
1. 서론
2. 외국 자료전승 현황
3. 한국 자료전승 현황
4. 변이의 요인과 의의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語文硏究편집 및 심사규정 외
- 高句麗 王稱語 小考
- 김사량의 <노마만리> 연구
- 한국어교재에서 나타난 명사 관련 문법 형태의 영어설명에 대한 고찰
- 이광수의 내선일체 논리 연구
- 韓中詩經論의 편집비평 연구
- 러시아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 박용래 문학의 아이텐티티 연구
- 한국시의 탈근대적 재현 연구
- <救龍談>의 사적 전개와 변이
-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 나타난 간도의 이주와 디아스포라의 귀소성 연구
- 오수연 연작 『부엌』의 원형성 탐구
- 竹泉 趙最壽의 燕行錄과 對淸意識
- 윤동주 산문 연구
- 대전 유성구 성북동 동제 고찰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서울’의 문학지리학적 연구
- 구비문학의 현재적 의의 찾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