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체관절인형의 고구려 복식 재현
이용수 138
- 영문명
- The Revival of Ball Joint Doll's Goguryeo Costume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권수현(Soo-Hyun Kwon) 강순제(Soon-Che Kang)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집』제28권 제1호, 109~12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making a contribution to increasing the consumers' interest in the traditional clothes by having the ball joint doll that is gaining widespread dressed up in traditional clothes and also to increasing their value as a cultural product. Therefore, the traditional clothes of ball joint dolls to be developed were selected from the female clothes depicted in a wall painting of Gogureo in the period of Three Stat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sessors of ball dolls usually collect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purchase the doll clothes online, and while they have a high desire for buying Korean traditional clothes for their doll, they end up not purchasing anything because of the high price and lack of variety in the design. It was pointe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gh-quality and various designs of traditional clothes in the reasonable price range.
Second, for the works to be reproduced, they were decided by the survey investigation, and six styles of clothes from the heroin and the dancer in the Anak 3rd Tomb the, dancer in the Moyong Tomb, the dancer in the Jangcheon 1st Tomb, the heroin in the Soosanri Tomb, the lady's attendants in the Ssangyoung-Tomb were selected.
Third, the actual objects were manufactured. The materials used were silk fabrics such as Dan and Myeongjoo, and for the stripe, the hand-drawing was used to produce the same picture as in the mural paintings or DTP was used.
목차
Ⅰ. 서론
Ⅱ. 구체관절인형 소유자의 구매특성과 전통복식 관심도
Ⅲ. 구체관절인형의 고구려 여자복식 제작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