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hysicochemical Component Analysis of Leafy Vegetables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선영(Sun-Yung Lee) 윤나리(Na-Ri Yoon) 황정빈(Jung-Bin Hwang) 이향정(Hyang-Jung Lee) 이준희(Joonhee Lee) 고경희(Kyung-Hee Koh)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집』제28권 제1호, 47~5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total phenolic, flavonoid, sugar, β-carotene, organic acid and mineral contents of chajogi(perilla frutescens), gomchwi(coriandeum sativum), meowi(Petasites japonicus) and sseumbagwi (Ixeris dentata) were evaluated.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chajogi, gomchwi, meowi and sseumbagwi was 115.4 mg%, 291.6 mg%, 51.8 mg%, and 313.9 mg%, respectively, with the content of sseumbagwi being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ent of the other plants(p<0.05).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cajogi, gomchwi, meowi and sseumbagwiwas 57.3 mg%, 193.1 mg%, 10.6 mg%, and 183.0 mg%, respectively. Although these valu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ut gomchwi and sseumbagwi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p<0.05). The sugar content was 8.4 g% in chajogi, 10.9 g% in gomchwi, 17.0 g% in meowi, and 8.4 g% in sseumbagwi. The β-carotene content of chajogi, gomchwi, meowi and sseumbagwi was 47.6 mg%, 194.8 mg%, 20.7 mg%, and 185.4 mg% respectively. The total organic acid content was 3947.5 mg% in chajogi, 3265.4 mg% in gomchwi, 2473.5 mg% in meowi, and 6241.0 mg% in sseumbagwi. Finally, the total mineral content was 3808.0 mg% in chajogi, 5860.2 mg% in gomchwi, 9522.2 mg% in meowi, and 5530.5 mg% in sseumbagwi.
목차
Ⅰ. 서론
Ⅱ. 실험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