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매체텍스트 읽기를 위한 웹페이지 분석 방법 연구
이용수 125
- 영문명
- A Study of the method of analysis the web page for critical reading of media texts-centered to web pages of autonomous entiti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임칠성(Im Chilseong) 하숙자(Ha Sookja)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67輯, 129~15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or critical reading internet web site, this paper shows a method of analysis two web pages of Seoul-si and Pampyeong-gun. We analysis the pages in text domain, deep structure domain, and discourse domain. In text domain, we extract the subjects through their isotopes. In the deep structure domain, we analysis the value systems of the subjects and the tracks of making their meanings of the pages. In the discourse domain, we analysis their way for constructing their stories in their web pages according to the Greimas(1970).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us that the ways of making subjects and communication are different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e ways of description are different between two web pages. The web page of Seoul-si gives some information to their citizens but that of Pampyeong-gun requires coming to Pampyeong as a visitor. So, in the deep structure domain of the web page of Seoul-si the communicators are his citizens but that of Pampyeong-gun are outsiders. In the discourse domain, the page of Seoul-si tells communicators that they will make the city well for the middle class citizens but that of Pampyeong-gun tells communicators that Pampyeong-gun is a good tourist resort for outsiders.
목차
1. 서론
2. 웹페이지 구성요인과 특성
3. 분석의 원리와 방법
4. 분석의 실제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布衣交集』 硏究
- 구인회의 활동과 성격 구축 과정
- 부조리극에 나타난 텍스트 구조와 텍스트성에 대하여-이근삼의 <원고지>를 중심으로
- 1930년대 작문교육 연구
- 한국언어문학회 회칙 외
- 전북 방언 [?]의 음운론적 처리
- 李愼儀 시조에 나타난 ‘벗’ 인식에 대한 고찰
- 연구 윤리를 위한 교양 교육 방안 연구
- 이문구 소설에 나타나는 조사 연구
- 서사의 디지털 자질과 서사 공간
- 서정인 소설의 소통과 미의식
- 삼척지역문학의 양상 고찰
- 매체텍스트 읽기를 위한 웹페이지 분석 방법 연구
- 고전문학의 콘텐츠 개발과 그 지향 :정선아리랑의 경우
- 가사의 유형분류문제 재론
- 동학민요 파랑새노래 연구
- 金昌業의 燕行文學에 나타난 瀋陽
- 담화표지 ‘다’에 대하여
- 남원 광한루의 누정제영시 연구
- 김광주의 1950년대 신문소설 연구
- 한국어 경음화의 실현 양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 문장의 구조와 해석문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