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담화표지 ‘다’에 대하여
이용수 389
- 영문명
- The Discourse Functions and the Grammaticalization of ‘Da'(all)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구종남(Koo Jongna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67輯, 37~5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elucidate the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of discourse marker ‘da’(all). Generally ‘da’ is used as a adverb or noun, but it can be used as a discourse marker, too. In this paper I showed several evidences which support ‘da’ to be a discourse marker, and explored the meanings and syntactic phenomena of ‘da’. ‘Da’ appears with high frequency in oral discourse and has no lexical meaning, so it is optional in sentence. ‘Da’ can appear sentence medially and finally as well. I argued that the main function of ‘da’ is to represent the speaker’s unexpectedness. Also in this paper I discussed the process that ‘da’ becomes a discourse marker. I demonstrated that discourse marker ‘da’ had been derived from adverb/noun through the pragmatic strengthening in grammaticalization.
목차
1. 서론
2. ‘다’의 담화표지 기능과 통사적 특징 및 문법화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布衣交集』 硏究
- 구인회의 활동과 성격 구축 과정
- 부조리극에 나타난 텍스트 구조와 텍스트성에 대하여-이근삼의 <원고지>를 중심으로
- 1930년대 작문교육 연구
- 한국언어문학회 회칙 외
- 전북 방언 [?]의 음운론적 처리
- 李愼儀 시조에 나타난 ‘벗’ 인식에 대한 고찰
- 연구 윤리를 위한 교양 교육 방안 연구
- 이문구 소설에 나타나는 조사 연구
- 서사의 디지털 자질과 서사 공간
- 서정인 소설의 소통과 미의식
- 삼척지역문학의 양상 고찰
- 매체텍스트 읽기를 위한 웹페이지 분석 방법 연구
- 고전문학의 콘텐츠 개발과 그 지향 :정선아리랑의 경우
- 가사의 유형분류문제 재론
- 동학민요 파랑새노래 연구
- 金昌業의 燕行文學에 나타난 瀋陽
- 담화표지 ‘다’에 대하여
- 남원 광한루의 누정제영시 연구
- 김광주의 1950년대 신문소설 연구
- 한국어 경음화의 실현 양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 문장의 구조와 해석문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