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인성교육론 비판
이용수 526
- 영문명
- A Critical Examination on the Discourse of character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박균섭(Park Kyoon-Seop)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敎育哲學 第35集, 35~6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0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biases and stereotypes on moral subject matter and textbooks in secondary school, and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to the practical educators. In this paper, some misunderstandings relating to moral subject matter is examined and the cultural cog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is analyzed critically. Schooling contributes to the shaping and construction of character education. But it is an unique idea that moral character is constructed by subject matter in school. The essence of character education depends on all the system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are nurtured, not simply on the specific program called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Life is a process of education, and education is the very process of character education in which it tries to shape a man"s character through the process of his life. The students are equipped involuntarily by education and social norms and they are matured voluntarily through his will and effort. In this point of view, we need philosophical perspectives about moral subject matter and character education. Many people maintain that no logical connections can be made between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the areas of educational endeavor. Many of us assume that to build moral character through subject matter to be true and obvious without any clear idea of why. Thus, this paper is relevant to scholars and practitioners, particularly those involved in history and cultural foundations of character education.
목차
Ⅰ. 왜 인성교육인가?
Ⅱ. 역사 : 인성교육론의 식민적 굴절과 불안한 지형
Ⅲ. 현실 : 편제에 묶인, 담장에 갇힌 인성교육론
Ⅳ. 해체와 재구성 : 가정-학교-사회의 통합성을 지향하는 인성교육론
Ⅴ. 과제와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Ⅱ. 역사 : 인성교육론의 식민적 굴절과 불안한 지형
Ⅲ. 현실 : 편제에 묶인, 담장에 갇힌 인성교육론
Ⅳ. 해체와 재구성 : 가정-학교-사회의 통합성을 지향하는 인성교육론
Ⅴ. 과제와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 교육 현실과 교사의 철학
- 일제시대 식민지 지배층화의 경로
- 유가 ‘소통윤리’의 교학론
- 한국교육철학회 연구윤리규정 외
- 학교 인성교육론 비판
- ‘인문적’ 관점의 교육환경 탐색
- 듀이의 ‘교과의 진보적 조직’에 비추어 본 통합교육과정의 재개념화
- 교사와 교육철학
- 중학교 더둑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교육이론의 두 가지 측면 - 교육이론의 실제성과 실제적 지식의 언어화
- ‘사회적 실천가’로서 교사
- Dewey 경험적 지식의 포스트모더니즘과의 정합성 연구
- 학봉 김성일의 교육방법론
- Frobel 恩物교육활동의 내용과 방법의 가치
- 포스트모더니즘의 담론과 교육
- 혜강 사상의 생태주의적 교육원리
- 교사와 학생의 의미화 과정에 관한 기호학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