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 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우울에 관한 연구
이용수 292
- 영문명
- A Survey o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of Nursing Student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정남(Chungnam Kim) 김영아(Yeongah Kim)
- 간행물 정보
- 『간호와 보건과학』제12권 제1호, 97~10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2.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o develope spiritual nursing curriculum in the nursing college, nursing student"s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level was evaluated. Method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72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instruments were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and depression scale.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was the revised by Choi(1991) using Palautzian and Ellison(1982)"s. The Depression scale was revised by Song(1977) using Zung(1965)"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2, 2005 to September 9, 2005.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4.0 program. Findings: 1. The respondents" gender was 71(98.6%) female and 1(1.4%)male. Average age was 20.62. The respondents" religion was protestantism 37(52.1%) and buddhism 20(28.2%). Length of religions life was less than 1year 30(53.5%). Level of participation in religious life was moderate 39(57.3%) and sometimes participate10 (14.7 %) Effect of religious life on daily life was effect a little 29(42.6%) and moderate23(33.8%). 2. Level of total spiritual wellbeing was 59.69(6.37).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was 31.18 (3.49)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was 28.51(4.67) and level of depression was 41.89(7.47). 3. The number of depression by severity was 50 (87.7%) on normal group, 5(8.8%) on mild depressive group and 2(3.5%) moderate depressive group.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who have religion and have not on level of spiritual wellbeing(t=2.479, p=0.01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vel of participation in religious life on level of spiritual wellbeing(F=10.590, p=0.00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ffect of religious life on daily life on level of spiritual wellbeing (F=6.824, p=0.000). Conclusion: Nursing student"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level was evaluated. This results will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e spiritual nursing curriculum in the nursing college. Nursing students who have religion, are actively participate in religious life and highly influenced by religious life on daily life showed higher level of spiritual wellbeing. To reinforce the nursing students" spiritual wellbeing this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종합병원 응급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처(Coping)의 개념 분석
- 일 보건소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사업을 위한 지역주민의 요구도 평가
- 노인 건강행태 분석 - 대구지역 중심으로
- 발간사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연혁 외
- 향기요법 손마사지가 말기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간호 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우울에 관한 연구
- 간호사 대상의 근골격계질환 국내 연구분석
- 통증관리 교육이 간호사의 통증지식 및 중재 이행도에 미치는 효과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건강신념과 산전관리 이행간의 관계
-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상태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