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erception and the needs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s by a public health center in the residents of a rural area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병숙(Lee Byoungsook) 고효정(Kho Hyojung) 권영숙(Kwon Youngsook) 김정남(Kim chungnam) 곽혜원(Kwak Hyeweon) 박미현(Park Mihyun)
- 간행물 정보
- 『간호와 보건과학』제12권 제1호, 23~3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2.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program offered by Sungju-gun public health center and the needs for the hospice and palliative service in the residents of Sungju-gun.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0 residents who were 20 years old and mor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 6, 2007 to Aug. 31, 2007 with tools developed by researchers.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2.0 version. Results : Mean score of the perception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program offered by Sungju-gun public health center was 8.45(SD 5.75) out of 19.0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perception according to the subjects" age, monthly income, religion,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In the needs for hospice and palliative service offered by Sungju-gun public health center, the score of the dimension "Service Connection" was highest, 1.75 out of 2.00, and the score of the item "Assistance for activities in daily living" in volunteer service was highest, 1.82 out of 2.0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needs for hospice and palliative service according to the subjects" monthly income.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s about hospice and palliative program offered by Sungju-gun public health center was low while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s with old age, low income, and low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So, hospice and palliative service programs for these populations service connection and volunteer services are especially strengthened should be developed and actively informed to the residents.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및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연구방법
결과 및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종합병원 응급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 보건소 호스피스ㆍ완화의료 사업을 위한 지역주민의 요구도 평가
- 노인 건강행태 분석 - 대구지역 중심으로
- 간호 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우울에 관한 연구
- 향기요법 손마사지가 말기암환자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대처(Coping)의 개념 분석
- 통증관리 교육이 간호사의 통증지식 및 중재 이행도에 미치는 효과
-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건강신념과 산전관리 이행간의 관계
- 발간사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연혁 외
- 간호사 대상의 근골격계질환 국내 연구분석
-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자아개념,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상태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Factors influencing Handgrip Strength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면역항암제 치료 중인 암환자의 지지적 간호 요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