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모발(毛髮)의 종류에 따른 재염색(再梁色)과 재탈색(再脫色)에 관한 연구

이용수  365

영문명
The study on the hair re-coloring and re-bleaching in the each different hair group
발행기관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저자명
이주영(Lee Ju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1권 제2호, 61~7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08.0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모발(毛髮)의 재 염색(再梁色)과 재 탈색(再脫色)을 하는데 있어서 학문적(學問的)인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고, 나아가 실제 산업현장(産業現場)에서 가치(價値) 있게 사용되어질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모발의 실험군(實驗群)을 각각 A군과 B군, 그리고 C군과 D군, E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발수성 또는 소수성모발(發水性, 疏水性毛髮, Hydrohobic-hair), 친수성모발(親水性毛髮, Hydrophilic-hair), 다공성 모발(多孔性毛髮, Porosity-hair)의 분류(分類)는 이(李,2000년)의 방법(方法)에 준(準)하여 실시하였다.
  각 군별로 헤어피스(Hair Piece)를 각각 3개씩 총 15개의 헤어피스를 만든 다음, 염색과 탈색의 처리온도(處理溫度)와 시간(時間)은 각 30℃에서 20~25 분 가온 후 20분 정도 실온(室溫)에서 자연방치(自然放置)한 다음, 샴푸 후 드라이어(dryer)로 건조(乾燥)시켜 색상의 출현상태(出現狀態)를 관찰하였다. 이어서 3~5일 후에 각 군별로 재 염색을 총 16회를 반복(反復) 실시(實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군의 실험결과(實驗結果)에 있어서, 밝은 색 계통의 염색이나 탈색되어진 모발을 검은색계통으로 염색을 하였을 때는 모두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반대로 검은색 계통으로 염색되어진 모발을 밝은 색 계통으로 염색이나 칼라코팅 하는 것은 매우 부적당(不適當)하였으며, 탈색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검은 색 계통으로 염색되어진 모발을 밝은 색 계통으로 염색을 하고자 할 때에는 탈색(脫色)으로 먼저 클렌징(Cleansing)해야 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2. B군의 실험결과에 있어서는 정상적(正常的)인 검은 모발과 원모(原毛)가 갈색 톤의 모발을 염색하는데 있어서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현저(顯?)한 차이는 없었으므로 차별(差別)을 둘 필요성(必要性)을 느끼지 못하였다.
  3. C군의 실험결과에 있어서는 통상적(通常的)인 탈색(탈색제1:산화제1)과 또 다른 탈색* (탈색제10g, 산화제 10㎖, 삼푸액10㎖ 온수 10㎖)을 실시하였던 바, 또 다른 탈색* 은 다공성이나 친수성모발에 적합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모발의 밀도(密度)가 조밀하고 긴 모발의 손님에 있어서 각 25%의 삼푸액과 온수(溫水)가 첨가됨으로써 원가(原價)를 줄일 수 있고, 특히 다공성 모발에 있어서는 클리너(Cleanner)로써의 사용이 적합하였다. 또한 12CC염모제는 조정제(調整制)로써는 약간의 효과는 있었지만 만족 할만한 것은 아니었고, 모발 클리너로 써도 적당치 않았다.
  4. D군의 실험결과는 2회 연속 탈색을 실시하였던 바, 1회 탈색보다는 양호한 결과를 얻었으므로, 양호한 원색(原色)의 색상을 얻기 위한 염색에 있어서는, 통상적인 탈색 방법과 또 다른 탈색* 방법을 이용하여 모발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2회 연속 또는 l회 탈색한 후 목표한 색상의 염모제로 염색을 시술함으로써 양호한 색상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클리너로써 2회 연속 탈색이 매우 양호한 효과가 있었다.
  5. E군의 실험결과는 또 다른 메이커의 탈색제# 와 산성염모제로 염색을 실시한 결과 대체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모발의 진단과 탈색제 및 염모제의 선택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se experiments carried out are for providing scientific fundamental data on hair re-dyeing, re-bleaching and for applying to the real field. The tested groups were divided into A, E, C, D, and E respectively and the sorts of hair were based on the Lee"s method(2000 year); hydrophobic-hair, hydrophilic-hair, porosity-hair. Firstly, each group prepared hair pieces (total 15 hair pieces) and the result of hair coloring showed after both re-dyeing and re-bleaching process. The applyed time and temperature was respectively 20~25 minutes and 30℃ ~ 35℃ Secondly, we kept the room"s temperature of around for 20 minutes and dried the hair pieces after shampoo. I could obtain the result from each group after re-coloring the hair 16 times repeatedly after 3~5 day. The results obtained in these experimen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group A, there was the clear testing result I could find; dyed hair with bright hue or bleaching hair had satisfactory hair-dyeing with black. In opposition, hair-dyeing and color coat with bright hue on the hair dyed with black showed the unsatisfactory result but the bleaching was fine. therefore, I could reach the conclusion that the hair designers should be bleaching the dyed hair with black in order to dye with bright tint.
  2. In group B, I could know the fact tha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etween ordinary black-hair and originally brown-hair in dyeing and bleaching.
  3. In group C, I could reach the result that another bleaching*(mixing of bleaching powder 10g, oxidant 10㎖, shampoo liquid 10㎖, warm water 10㎖) was very germane to the kinds of hydrophilic and porosity-hair compared with general bleaching. In addition, I could lessen cost on the both high density and long hair type by adding shampoo almost 25% and warm water 25%. Especially, it was proper to use the hair cleaner on the porosity hair. but utilizing hair-dye-12CC was improper as the hair-cleaner.
  4. In group D, I could get a better result with consecutive 2 times bleaching more than one times. To have better hair-bleaching, I made use of two types of hair-bleaching; ordinary type and the other type*(marked solution). And by way of the methods, I applyed both to the hair appropriately depending on hair condition. What was more surprising I got was another favorable outcome that 2 times of the consecutive bleaching as a hair cleaner was very effective.
  5. In group E, The conclusion of the test using another bleaching powder maker # and acid-hair-dye for hair bleaching and dyeing showed another fine result. On the basis of this, I could obtain the result that importance of both selecting hair-dye and bleaching powder and classifying hair are beyond descript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적요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영(Lee Ju Young). (2000).모발(毛髮)의 종류에 따른 재염색(再梁色)과 재탈색(再脫色)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 (2), 61-78

MLA

이주영(Lee Ju Young). "모발(毛髮)의 종류에 따른 재염색(再梁色)과 재탈색(再脫色)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2(2000): 6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