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90년대 후반의 현대 패션에 나타나는 메이크업 경향에 관한 연구 - 1997~1999년을 중심으로 살펴본 메이크업 스타일
이용수 119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ndencies in makeup apparent in modern fashion in the late 1990s Make-up style focused on 1997~1999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정원정(Won Jung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1권 제2호, 201~2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8.0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ndencies in make-up that appeared in modern fashion in the late 1990s. The major tendencies of make-up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cklash agains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caused by civilization and industrial advances produced a style of make-up that is nature-oriented and ecological. Second, mental desolation caused by modern society brought interest to Eastern culture which, in turn, resulted in the rise of oriental style make-up. Third, the pursuit of variety and a feeling of nostalgia towards modes of the past created a mood of varied revival in makeup. Finally, styles derived from various artistic trends were observed in renewed and creative ways and expressed beauty in visual ways using geometric forms.
As mentioned above, the tendencies of make-up in the late 1990s developed along with the major trends of modern fashion all the while exploiting a creative and original artistic area. Furthermore, they not only follow the trends of modern fashion but also reflect the social trends and the desires of their times.
The trends mutually interact with each other to develop, Therefore, to explore a new style of make-up, it is necessary to examine not just the upcoming fashion trends but the social and cultural tendencies, artistic trends and styles and the various technical and manufacturing advances in the cosmetic industry, The forthcoming trends in make-up will constitute an important part of modem fashion which looks for varied and characteristic ideas and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riginal make-up designs.
As mentioned above, the tendencies of make-up in the late 1990s developed along with the major trends of modern fashion all the while exploiting a creative and original artistic area. Furthermore, they not only follow the trends of modern fashion but also reflect the social trends and the desires of their times.
The trends mutually interact with each other to develop, Therefore, to explore a new style of make-up, it is necessary to examine not just the upcoming fashion trends but the social and cultural tendencies, artistic trends and styles and the various technical and manufacturing advances in the cosmetic industry, The forthcoming trends in make-up will constitute an important part of modem fashion which looks for varied and characteristic ideas and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riginal make-up design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Ⅲ.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Ⅲ.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강모발을 유지하기 위한 연구 - 천연식품과 천연 트리트먼트를 중심으로
- 눈 메이크업이 顏面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硏究
- 시판중인 모발 반영구적 염색약의 중금속에 관한 연구
- 미술의상과 메이크업의 표현경향에 관한 연구
- 뷰티살롱의 서비스질이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년여성의 피부관리실태
- 전문미용사의 역할 개발 - 헤어 미용사를 중심으로
- 학회소식 외
- 두피 및 모발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탈모연구 - WT-Methode system을 중심으로
- 천연약용식물 감초의 미용효과에 대한 고찰
- 모발(毛髮)의 종류에 따른 재염색(再梁色)과 재탈색(再脫色)에 관한 연구
- 무대분장의 표현기법에 대한 연구
- 1990년대 후반의 현대 패션에 나타나는 메이크업 경향에 관한 연구 - 1997~1999년을 중심으로 살펴본 메이크업 스타일
- 백모의 원인과 대처 방안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일본 가부키(歌舞伎)극의 구마도리(外取)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