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화 과정 중에 있는 형태에 대한 연구 - {-ㄹ테-}를 중심으로
이용수 485
- 영문명
- A Study on the Type of Grammatization Proce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ㄹ테-} -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안주호(Joo-hoh Ahn)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56輯, 5~3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Korean language various endings and particles are well developed as one of the agglutinative languages. Even in the period of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various grammatical morphemes are newly being generated.
Among them, most representative is "터." The "터", as an independent noun, mainly indicating space in middle Korean language has grown to become a dependent noun representing "situation and circumstance" in modern Korean language.
Since around the 19th century, it has been transforming into the pre-final ending of "-ㄹ테-", as the complement "-ㄹ", and the succeeding verb "이-" are combined. Even though the "터" is stipulated as independent noun and dependent noun only in Korean language grammar, in real-life Korean language it gets becoming pre-ending showing a kind of mode and tends to be added by "-ㄹ테-."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the Sejong corpus data, investigates the usages of independent noun "터" and dependent noun "터", examines the relationship that they maintain with preceding and succeeding elements, and discusses the application method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frequency analysis on them.
Among them, most representative is "터." The "터", as an independent noun, mainly indicating space in middle Korean language has grown to become a dependent noun representing "situation and circumstance" in modern Korean language.
Since around the 19th century, it has been transforming into the pre-final ending of "-ㄹ테-", as the complement "-ㄹ", and the succeeding verb "이-" are combined. Even though the "터" is stipulated as independent noun and dependent noun only in Korean language grammar, in real-life Korean language it gets becoming pre-ending showing a kind of mode and tends to be added by "-ㄹ테-."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the Sejong corpus data, investigates the usages of independent noun "터" and dependent noun "터", examines the relationship that they maintain with preceding and succeeding elements, and discusses the application methods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frequency analysis on them.
목차
1. 머리말
2. 자립명사 {터}에서 {-ㄹ테-}로의 문법화 과정
3. {-ㄹ테-} 형식의 융합 조건
4. 한국어교육에서의 {-ㄹ테-}의 제시방안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2. 자립명사 {터}에서 {-ㄹ테-}로의 문법화 과정
3. {-ㄹ테-} 형식의 융합 조건
4. 한국어교육에서의 {-ㄹ테-}의 제시방안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해지역문학의 ‘바다시’ 연구 - 『동해문학』을 중심으로
- 김혜순 시에 나타난 신체 지칭어의 성격
- 국어 명사구의 유형에 대하여
-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글쓰기 방법론
- 서정주 초기시에 나타나는 감금의 공간 메타포 연구
- 문어 텍스트와 구어 텍스트의 담화 표지와 텍스트 구조 비교 연구
- 무안지역 왕건전설의 특성과 문화론적 활용
- 백봉래의 서경론 연구 - 편집비평적 성격을 중심으로
- 설화 읽기에 대한 반성적 고찰
- 에밀레종 전설의 근원과 전래
- 17세기 여성대상 산문의 남성의 여성인식과 여성의 삶
- 해성가ㆍ도솔가의 일원론적 세계관과 민심의 조화
- 峿堂 李象秀의 散文批評論 硏究
- 구활자본 고소설 『丙寅洋擾』 연구
- 수기에 나타난 식민적 징후와 50년대 동일성 담론 - 『나는 코리안의 아내』와 『女苑』을 중심으로
- 수정과 피드백이 글쓰기에서 동인(動因)이 되는 방식을 위한 탐구
-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화 과정 중에 있는 형태에 대한 연구 - {-ㄹ테-}를 중심으로
- 심층 언어와 무의식의 글쓰기 : 이상
- 아방가르드의 한국적 수용과 초현실성 - 李箱과 趙鄕의 경우
- 論文硏究 편집 및 심사규정 외
- 텔레비전 드라마 〈굿바이 솔로〉 연구 - 예술성과 대중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