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글쓰기 방법론
이용수 266
- 영문명
- Teaching-learning of writing - Focused on the as aesthetic experience of cultural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이연승(Lee Yun Seung)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56輯, 525~55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earning a writing means the contact with not only different language but also cul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culture to person who are learning the language, and teaching the culture has to be kept step with teaching the language. Educating writing is very useful and appropriate to educate culture and language at the same time. So this research is descriptive rather than normative and intends to have experimental attitude rather than theory.
Consequently, I discussed the stage of teaching and materials in a way of teaching writing. In the exisisting discussion, some educator say that the use of cultural text mainly gives an improvement linguistic ability in an educating writing korean and is meaningful as the use of high quality teaching materials in a point of educational view. And they said that emotinal and aesthetic character of cultural survivement to improve the creative use of writing. But previously stated way of educating writing is almost not applicable to beginners, and is applicable for a few people who specially educated in high grade course. The teachers and learners take part in interpretation the text together and through the process of the conversation they can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culture.
With several methods, creative reading and writing can be possible. The method, presented in here, is based on the view of understanding as synthetic cultural ability while not to understand creativity as contemporary text.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research developes the text model of discourse synthetic reading & writing.
In conclusion, teaching aesthetic experience needs to be recomposed as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cultural ability of learners. The problem-how to write a good writing-is fundamentally links to a conclusion as how to see a life.
Consequently, I discussed the stage of teaching and materials in a way of teaching writing. In the exisisting discussion, some educator say that the use of cultural text mainly gives an improvement linguistic ability in an educating writing korean and is meaningful as the use of high quality teaching materials in a point of educational view. And they said that emotinal and aesthetic character of cultural survivement to improve the creative use of writing. But previously stated way of educating writing is almost not applicable to beginners, and is applicable for a few people who specially educated in high grade course. The teachers and learners take part in interpretation the text together and through the process of the conversation they can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culture.
With several methods, creative reading and writing can be possible. The method, presented in here, is based on the view of understanding as synthetic cultural ability while not to understand creativity as contemporary text.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research developes the text model of discourse synthetic reading & writing.
In conclusion, teaching aesthetic experience needs to be recomposed as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cultural ability of learners. The problem-how to write a good writing-is fundamentally links to a conclusion as how to see a life.
목차
1. 들어가면서
2. 글쓰기 교육의 목표와 지향점
3. 글쓰기 교육의 운영 방법
4. 담화 통합(discourse synthesis)의 관점에서 읽기-쓰기의 예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2. 글쓰기 교육의 목표와 지향점
3. 글쓰기 교육의 운영 방법
4. 담화 통합(discourse synthesis)의 관점에서 읽기-쓰기의 예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해지역문학의 ‘바다시’ 연구 - 『동해문학』을 중심으로
- 김혜순 시에 나타난 신체 지칭어의 성격
- 국어 명사구의 유형에 대하여
-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글쓰기 방법론
- 서정주 초기시에 나타나는 감금의 공간 메타포 연구
- 문어 텍스트와 구어 텍스트의 담화 표지와 텍스트 구조 비교 연구
- 무안지역 왕건전설의 특성과 문화론적 활용
- 백봉래의 서경론 연구 - 편집비평적 성격을 중심으로
- 설화 읽기에 대한 반성적 고찰
- 에밀레종 전설의 근원과 전래
- 17세기 여성대상 산문의 남성의 여성인식과 여성의 삶
- 해성가ㆍ도솔가의 일원론적 세계관과 민심의 조화
- 峿堂 李象秀의 散文批評論 硏究
- 구활자본 고소설 『丙寅洋擾』 연구
- 수기에 나타난 식민적 징후와 50년대 동일성 담론 - 『나는 코리안의 아내』와 『女苑』을 중심으로
- 수정과 피드백이 글쓰기에서 동인(動因)이 되는 방식을 위한 탐구
-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화 과정 중에 있는 형태에 대한 연구 - {-ㄹ테-}를 중심으로
- 심층 언어와 무의식의 글쓰기 : 이상
- 아방가르드의 한국적 수용과 초현실성 - 李箱과 趙鄕의 경우
- 論文硏究 편집 및 심사규정 외
- 텔레비전 드라마 〈굿바이 솔로〉 연구 - 예술성과 대중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