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대미술의 개념 확장과 교육적 의미

이용수  1,093

영문명
Expansion in the Concept of Comtemporary Art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진영은(Chin Young Eun) 강성원(Kang Sung Won)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1券 3號, 23~5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의 미술은 과거와 달리 주제ㆍ기법ㆍ매체의 사용에 있어서 그 범위가 크게 확장되었다. 더불어 표현에 있어서도 표현 이전의 사고의 과정까지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미술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이전의 미술 형식이 단일화되었던 것과는 달리 조형예술영역은 다원화 양상을 띠고 있으며, 그것은 미술 자체의 내부적 변화에 기인한 것이라기보다는 시대적 흐름에 따른 전반적인 사회ㆍ문화적 변화와 맞물려서 전개된 것이다. 현대미술의 특성인 사고(idea)의 중시, 예술 영역간의 상호교류, 매체 수용의 다양화, 다양한 주제와 기법의 수용 등의 확장된 개념은 교육적으로 시각문화교육, 창의적 인지작용, 통합적 접근으로의 미술교육을 의미하고 있다. 미술교육은 지식 교육으로서 전문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삶의 양식으로서 자기표현의 한 방법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Unlike the past concept of art, contemporary art has expanded in a usage of theme, technique and material. In the way of expression, it has also expanded by including the process of thinking. Previously, art had a simplified and unified form but today forms are being diversified. The change reflects the changes in overall trends in social and cultural trends. Importance of idea. transactions between different areas of art, various materials, wide variety of themes and techniques,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lead t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creative recognition process and integrative approach in art edu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미술의 개념 확장과 현대미술의 특성
Ⅲ. 미술 개념 확장의 교육적 의미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영은(Chin Young Eun),강성원(Kang Sung Won). (2007).현대미술의 개념 확장과 교육적 의미. 미술교육논총, 21 (3), 23-50

MLA

진영은(Chin Young Eun),강성원(Kang Sung Won). "현대미술의 개념 확장과 교육적 의미." 미술교육논총, 21.3(2007): 23-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