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불교도상과 미술양식의 관련성 연구
이용수 646
- 영문명
- A Study of the Buddhist Art; Role of the Iconography in terms of Style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인창(Kim Inchang)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1券 3號, 407~43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불교미술사는 작품의 종교적 성격을 규명하는 도상학 분야와, 작품의 미적 조형성을 탐구하는 양식사 분야로 대별된다. 도상학 분야에서는 각 상이 내포한 의미를 해석하고, 양식사 분야에서는 시대에 따른 미의식의 변화를 추적한다. 기존의 미술사연구는 이 둘을 이원적으로 취급하였으며 양식사는 서양미술사조에 적용된 양식변천주기를 그대로 차용하였다. 그 결과 삼국시대 미술은 발전기 미술로 분류되고, 통일신라 미술은 전성기 미술로 정의되며, 고려시대 미술은 쇠퇴기 미술로 규정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불교미술에 있어서 도상과 양식의 일원적 연관성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불교조각가들이 도상의 종교적 성격에 부합되게 미술양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였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서양미술과 구별되는 것으로써 불교미술의 조형미학을 새롭게 정립할 근거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artistic style of the Buddhist sculpture differs from one to another, depending on time and place.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make a chronicle of the Buddhist sculptures according to the style. The present study is made with a theory that the artistic style of the Buddhist sculpture depends on the icon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ir are many kinds of the God in the Buddhist pantheon. The most important of them are the Buddha. the Bodhisattvas. and the guardian Kings. Each Buddhist iconography is characterized with their own artistic style, i.e. the physical proportion, facial characteristic, massiveness of work, bodily movement. and depth of the carving. The Buddha image is characterized with massive body, and bold treatment. The Bodhisattva, on the other hand. is always represented clothed as princes and adorned with ornaments and crown. In the sculptural representation. the images of Bodhisattva are slander in body, and have a contra-posture. The guardian Kings are usually represented as warriors in armors, with an weapon in the hand. They are represented as powerfully muscled giants, half naked, heads shaved, and body twisted. The main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bring out the role of the iconography in terms of the artistic style found on the Buddhist images of the Great Silla Dynas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여래도상과 미술양식
Ⅲ. 보살도상과 미술양식
Ⅳ. 호법신중도상과 미술양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여래도상과 미술양식
Ⅲ. 보살도상과 미술양식
Ⅳ. 호법신중도상과 미술양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미술교육학회 정관 외
- 현대미술의 개념 확장과 교육적 의미
- 박물관 에듀케이터의 직무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요구분석 연구
- 벽화 프로젝트의 교육적 효과 또는 가능성
- 문제해결력과 사고력 중심 미술교과 평가
- DMZ 접경 지역의 문화와 생태를 활용한 미술과 교수ㆍ학습방법 탐색
- 미술과 수업 장학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미술과 지도 유형에 관한 연구
- 미술교육 내실화를 위한 수행평가도구 모형 개발 연구
- 현대 인체조각에서 드로잉에 관한 연구
- Adobe Photoshop Program을 활용한 Digital Textile Printing의 창조적 의미와 복제의 재해석
- 존재 체험의 터전으로서의 미술
- 미술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본 한국의 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 게임동영상 제작과정에 필요한 스토리보드 제작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불교도상과 미술양식의 관련성 연구
- 시각문화교육으로서 디자인 수업의 가능성 연구
- 테셀레이션의 미술교육적 적용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