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혼남녀의 배우자 및 자녀와의 관계와 건강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497
- 영문명
- Married Men and Women"s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Children and Health: A Gender Difference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전신현(Jun Shin-Hyun)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19집 3호, 105~122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배우자 및 자녀와의 관계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배우자와 자녀와의 관계는 부정적 관계와 긍정적 관계가 있다. 이 연구는 부정적 관계로서 배우자 및 자녀와의 역할긴장, 그리고 긍정적 관계로서 배우자 및 자녀의 사회지지가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특별히 이 연구는 역할긴장과 사회지지의 영향이 남녀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의 성별 차이의 검증에 관심을 갖는다. 아울러 이 연구는 사회배경변인과 생활사건의 영향이 이들 배우자 및 자녀와의 관계 변인들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다룰 것이다. 2004년도 서울을 포함한 7개 광역시의 기혼남녀 1,83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배우자 및 자녀와의 역할긴장과 사회지지의 건강에 대한 영향력은 남녀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 남성의 경우는 자녀와의 긴장이 건강에 부정적이고, 배우자의 지지가 건강에 긍정적이었으나, 여성의 경우는 반대로, 배우자와의 긴장이 건강에 부정적이고, 자녀의 지지가 건강에 긍정적이었음을 제시했다. 사회배경변인 및 생활사건의 건강에 대한 영향은 배우자 및 자녀와의 역할긴장과 사회지지에 매개되지 않고 직접적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ests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s with spouse and children on health. There are both negative relationship an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pouse and children.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role strain with spouse and children and their social support on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is study especially examines whether the effects of role strain and support on health are different across gender. This study also tests the effect of social background and negative life events on health and whether their effects are mediated by relationships with spouse and children. Using data from 1,837 married men and women in 7 metropolitan cities, 2004, this study reveals that the effects of role strain and support with spouse and children on health are different across men and women. For men, role strain with children has a negative influence on health and social support of spous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health. In contrast, for women, role strain with spouse has a negative influence on health and social support of childre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health. However,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social background and negative life events on health are not mediated by role strain and social support factors and they have direct independent effec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문제와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문제와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베이커리카페의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지식공유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산업 종사자의 자기주도 직무재구성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