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혼으로 인한 ‘가족상실’, ‘경제소득’ 및 ‘양육행동’의 변화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38
- 영문명
- The Effect of Parental Divorce on Children"s Self-Esteem: Based on the Effects of Family structure, Economical deficiency and Parenting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김은정(Kim Eun-Jung) 백혜정(Baek Hye-Jeong)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19집 3호, 79~103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이혼 가정의 가족상실과 경제소득, 그리고 부모의 양육행동의 변화가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 중 제 3차년도 자료인 고등학교 1학년 청소년 3,44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이혼은 가정의 경제적 소득과 청소년기 자녀들에게 제공되는 양육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혼으로 인한 가정의 경제적 소득의 감소는 부모 양육행동의 양과 질을 저하시킴으로써 청소년기 자녀들의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이혼이라고 하는 가족 구조적 변화와 가족 소득의 저하 그 자체보다는 가족구조/소득 변화로 인한 양육행동의 변화가 이혼가정 자녀들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경제적, 구조적 측면에서 열악한 가정환경을 갖고 있는 청소년이라 하더라도 그들에게 질 좋은 양육행동이 충분히 제공된다면 자아존중감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arents" divorce on the family structure, income, education of youth, and self-esteem of youth. Specifically, statistical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during a survey of 3,449 high school freshmen as phase Ⅲ of the panel studies on Korean juvenil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e negative effects of the divorce of parents on the family income and education of their teenage children. Moreover, the decreased income after the divorce was found to lower the quality and quantity of education of the youth and adversely affect the self-esteem of youth in particular. Consequently, the changed education after the divorce, not the changed family structure and income, could be said to affect self-respect of youth. Therefore, the sufficient provision of quality education by parents who are divorced may help their youth build self-esteem even if their family income and family structure leave a lot to be desi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베이커리카페의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지식공유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산업 종사자의 자기주도 직무재구성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