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인 6대 암에 관한 고등학생의 지식, 태도, 예방적 건강행위 실천도
이용수 208
- 영문명
-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 Six Most Common Cancers in Korea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선경(Kim Sun Kyoung) 이병숙(Byoung Sook Lee)
- 간행물 정보
- 『간호와 보건과학』제10권 제1호, 135~14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2.0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igh school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s for the six most common cancers in Korea.
Method: Participants were 1,600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Quata sampling was done by the ratio of sex and school typ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March 8 to 20, 2004, and 1,581 responses were analyzed. Questionnaires about cancer-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s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 correlation in SPSS/WIN 11.0.
Result: Mean score of the knowledge was 3.11(0.44), attitude 3.02(0.36),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3.36(0.41). The knowledg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x, school type, grade, number of health education, and concern about the cancers. Attitud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number of health education, concern about the cancers, and health status. Preventive health behavior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health education, concern about the cancers, and health status. The preventive health behavio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knowledge and attitude(r=0.0228, p=0.003; r=0.439, p=0.000).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the number of health education affected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systematic health education about cancer for high school students is suggested.
Method: Participants were 1,600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Quata sampling was done by the ratio of sex and school typ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March 8 to 20, 2004, and 1,581 responses were analyzed. Questionnaires about cancer-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s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 correlation in SPSS/WIN 11.0.
Result: Mean score of the knowledge was 3.11(0.44), attitude 3.02(0.36),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3.36(0.41). The knowledg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x, school type, grade, number of health education, and concern about the cancers. Attitud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number of health education, concern about the cancers, and health status. Preventive health behavior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health education, concern about the cancers, and health status. The preventive health behavio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knowledge and attitude(r=0.0228, p=0.003; r=0.439, p=0.000).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the number of health education affected o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systematic health education about cancer for high school students is suggested.
목차
서론
연구 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영어 초록
Address reprint requests to
연구 방법
연구결과
고찰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영어 초록
Address reprint requests to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암 환자와 가족의 암 정보 관련 인터넷 사용 실태조사
- 액티그래프를 이용한 수면과 각성 주기 연구에 대한 고찰
- 복압성 요실금 여성의 골반저근육운동 수행정도, 골반저근육 수축력과 요실금 정도 간의 상관관계
- 유럽전략문화와 EU의 안보역할
- 일 간호대학의 문제중심학습 수업과정 및 학습성과 분석
- 노인의 변비예방에 대한 미국 NGC™ 가이드라인의 국내 적용성 평가
- NOC을 적용한 복부수술환자의 간호결과 평가도구 개발
- 발간사
- 관절마사지를 겸한 운동요법이 골관절염 노인의 통증 및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 6대 암에 관한 고등학생의 지식, 태도, 예방적 건강행위 실천도
- 허약노인환자의 간호
- 지역주민의 방문보건사업에 대한 만족도와 삶의 질의 관계
- 노화와 건강관리 가상강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노화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신간호학 임상실습 교육의 OSCE 적용
-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입원환자, 간호사 및 의사의 태도 비교 연구 - 일개 대학병원 대상
-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에이즈에 대한 지식과 태도 조사
- 뇌졸중환자 가족간호제공자의 역할스트레스와 우울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연혁 외
- 중년여성의 복부비만 감소를 위한 복부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반사회적 인격 장애를 동반한 알코올의존 대상자와 간호사의 언어적 의사소통유형에 대한 상호교류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