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주민의 방문보건사업에 대한 만족도와 삶의 질의 관계
이용수 77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the Satisfaction of Home Visits as Nursing Services in Community Residents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경민(Park Kyung Min) 고효정(Koh Hyo Jung) 박영숙(Park Yeong) 김정남(Kim Chung Nam) 김향동(Kim Hyang Dong) 한정안(Han Jeong An)
- 간행물 정보
- 『간호와 보건과학』제10권 제1호, 179~18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2.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in community residents. Method: The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1,201, who all had a chronic disease with basic social welfare services from a nation in an urban community, South Korea. The instruments were used in the family nursing phenomena in Korea by ICNP and client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consisted of client satisfaction on home visiting nurses and home visiting services. Result: The average nurse visiting number was 4.18. The number of service facilities of measurement and diagnosis 3.93, education/counselling 3.90, medication & medication management 3.67, symptom management 3.57, examination 1.65, treatment 1.60, and referral to medical service institute 0.27.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lients on the nurses was on average 3.33 points in the scale between 0 and 4. The quality of life with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 in community residents showed mean score of 3.07. The mean score of general health state was 3.91 and physical strength was 3.37 in order. The lowest was degree of limitation on general physical activity with the score of 2.81 points in a total scale between o and 4.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 visit frequency and satisfaction of service was r=0.136 (p=0.001), and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of home visiting service was r=0.286 (p=0.000). Conclusion: Home visiting nursing services should continue to analyse effectiveness of home health care service and satisfaction of home health care service.
목차
서론
연구의 제한점
연구방법
연구결과 및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영어 초록
Address reprint requests to
연구의 제한점
연구방법
연구결과 및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영어 초록
Address reprint requests to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암 환자와 가족의 암 정보 관련 인터넷 사용 실태조사
- 액티그래프를 이용한 수면과 각성 주기 연구에 대한 고찰
- 복압성 요실금 여성의 골반저근육운동 수행정도, 골반저근육 수축력과 요실금 정도 간의 상관관계
- 유럽전략문화와 EU의 안보역할
- 일 간호대학의 문제중심학습 수업과정 및 학습성과 분석
- 노인의 변비예방에 대한 미국 NGC™ 가이드라인의 국내 적용성 평가
- NOC을 적용한 복부수술환자의 간호결과 평가도구 개발
- 발간사
- 관절마사지를 겸한 운동요법이 골관절염 노인의 통증 및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 6대 암에 관한 고등학생의 지식, 태도, 예방적 건강행위 실천도
- 허약노인환자의 간호
- 지역주민의 방문보건사업에 대한 만족도와 삶의 질의 관계
- 노화와 건강관리 가상강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노화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신간호학 임상실습 교육의 OSCE 적용
-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입원환자, 간호사 및 의사의 태도 비교 연구 - 일개 대학병원 대상
-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에이즈에 대한 지식과 태도 조사
- 뇌졸중환자 가족간호제공자의 역할스트레스와 우울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연혁 외
- 중년여성의 복부비만 감소를 위한 복부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반사회적 인격 장애를 동반한 알코올의존 대상자와 간호사의 언어적 의사소통유형에 대한 상호교류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