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靑少年의 人格成長權
이용수 8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저자명
- 정순원(Jung Soon-Won)
- 간행물 정보
-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12卷 第5號, 189~21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청소년은 미래의 시민으로서 청소년 보호를 가정, 학교, 사회, 국가의 의무로 인정되고 있다. 그런데 청소년을 보호를 위해서는 성인과 청소년 자신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는데, 성인의 기본권 제한은 헌법 제37조 제2항의 일반적 법률유보조항을 통해 제한의 한계 등을 명확히 할 수 있으나, 청소년 자신의 기본권 제한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이 글은 후자를 헌법이론적으로 좀 더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함이다. 즉, 청소년을 보호함에 있어 청소년 자신의 기본권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청소년 보호의 목적이 되는 기본권 즉, 인격성장권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며, 인격성장권은 모든 인간의 기본권으로 헌법 제10조의 인간의 존엄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다만 성인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인격이 완성되었음이 의제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권리는 특히 청소년에게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 기본권으로 헌법이 청소년을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이 되는 기본권이면서, 동시에 청소년 보호를 위한 기본권 제한의 한계로서 작용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序論
Ⅱ. 靑少年의 人格成長權
Ⅲ. 人格成長權의 法的性格
Ⅳ. 人格成長權의 憲法的 根據
Ⅴ. 結論
참고문헌
[국문초록]
[Zusammenfassung]
Ⅱ. 靑少年의 人格成長權
Ⅲ. 人格成長權의 法的性格
Ⅳ. 人格成長權의 憲法的 根據
Ⅴ. 結論
참고문헌
[국문초록]
[Zusammenfassung]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종교 관련 제도의 헌법적 문제점과 그 개선방향
- 헌법개정시 헌법재판을 포함한 사법구조의 개편방향
- 日本에 있어서의 敎育基本法의 思想的 背景
- 靑少年의 人格成長權
- 헌법편제에 관한 연구
- 集會의 槪念에 대한 憲法的 考察
- 외교 · 국방영역에서의 행정부의 권한
- 민간경비활동의 헌법적 한계
- [서평]『일반국가학』(법문사, 2005) - 게오르그 옐리네크 지음, 김효전 옮김,
-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국제사례와 양심의 자유
- 헌법 제37조 제2항 "공공복리" 개념에 관한 고찰
- 修正憲法 第1條와 十字架燒却
- 발간사
- 社團法人 韓國憲法學會 定款 외
- 자유권의 보호범위
- 북한이탈주민의 인도적 처리를 위한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인권침해로서 가정폭력에 대한 미국에서의 논의
- 범죄피해자지원의 헌법적 근거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