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헌법개정시 헌법재판을 포함한 사법구조의 개편방향
이용수 40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저자명
- 남복현(NAM Bok-Hyeon)
- 간행물 정보
-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12卷 第5號, 391~42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향후 헌법개정이 논의될 때, 헌법재판을 포함한 사법구조와 관련해서 바람직한 개편방향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내용은 대체로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의 사법구조를 미국식의 일원적 구조에서 대륙법계의 다원적 사법구조로의 근본적인 대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대법관의 임명방식은 현행대로 유지하는 반면에, 헌법재판관의 경우 국회 원내 교섭단체 중 소수파가 추천하고 국회의 동의를 받아 대통령이 임명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셋째, 헌법재판소의 구성방법을 헌법이 직접 규율하는 반면, 헌법재판관의 정수는 법률에 위임하고, 예비헌법재판관제도를 헌법이 반드시 규율해야 한다.
넷째, 현행법상 헌법재판관의 임기인 6년을 대폭 확대하고 대신에 단임제로 함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법률의 위헌결정이나 헌법소원 인용결정은 일반적인 심판정족수를 적용하고, 탄핵결정과 정당해산결정에 대해서는 재판관 3/5 이상의 찬성으로 강화하는 방안이다.
첫째, 우리나라의 사법구조를 미국식의 일원적 구조에서 대륙법계의 다원적 사법구조로의 근본적인 대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대법관의 임명방식은 현행대로 유지하는 반면에, 헌법재판관의 경우 국회 원내 교섭단체 중 소수파가 추천하고 국회의 동의를 받아 대통령이 임명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셋째, 헌법재판소의 구성방법을 헌법이 직접 규율하는 반면, 헌법재판관의 정수는 법률에 위임하고, 예비헌법재판관제도를 헌법이 반드시 규율해야 한다.
넷째, 현행법상 헌법재판관의 임기인 6년을 대폭 확대하고 대신에 단임제로 함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법률의 위헌결정이나 헌법소원 인용결정은 일반적인 심판정족수를 적용하고, 탄핵결정과 정당해산결정에 대해서는 재판관 3/5 이상의 찬성으로 강화하는 방안이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사법구조의 근본적인 개편
Ⅲ.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구성방법(선출방법을 중심으로)
Ⅳ. 헌법재판관의 정수와 예비재판관 제도의 도입
Ⅴ. 헌법재판관과 대법관의 임기와 연임허용 여부
Ⅵ. 헌법재판 인용결정의 가중다수결 폐지
Ⅶ. 문제의 정리
[국문초록]
[Zusammenfassung]
Ⅱ. 사법구조의 근본적인 개편
Ⅲ.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구성방법(선출방법을 중심으로)
Ⅳ. 헌법재판관의 정수와 예비재판관 제도의 도입
Ⅴ. 헌법재판관과 대법관의 임기와 연임허용 여부
Ⅵ. 헌법재판 인용결정의 가중다수결 폐지
Ⅶ. 문제의 정리
[국문초록]
[Zusammenfassung]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종교 관련 제도의 헌법적 문제점과 그 개선방향
- 헌법개정시 헌법재판을 포함한 사법구조의 개편방향
- 日本에 있어서의 敎育基本法의 思想的 背景
- 靑少年의 人格成長權
- 헌법편제에 관한 연구
- 集會의 槪念에 대한 憲法的 考察
- 외교 · 국방영역에서의 행정부의 권한
- 민간경비활동의 헌법적 한계
- [서평]『일반국가학』(법문사, 2005) - 게오르그 옐리네크 지음, 김효전 옮김,
-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국제사례와 양심의 자유
- 헌법 제37조 제2항 "공공복리" 개념에 관한 고찰
- 修正憲法 第1條와 十字架燒却
- 발간사
- 社團法人 韓國憲法學會 定款 외
- 자유권의 보호범위
- 북한이탈주민의 인도적 처리를 위한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인권침해로서 가정폭력에 대한 미국에서의 논의
- 범죄피해자지원의 헌법적 근거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