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forming Aspects and Literal Characteristics of Dungdangaetaryong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서영숙(Seo Youngsook)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한국언어문학 제57집, 187~21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erforming aspects and literal characteristics of Dungdangaetaryong. Dungdangaetaryong is women"s traditional folksong transmitted in the southwestern seashores and islands of Jeolla province. It is the game song that women sing playing and taking a rest after co-work. Women sing it beating the water bowl or bow which are the working tools, they are called ‘Mulbanggu’ and ‘Whalbanggu’. Women sing Dungdangaetaryong with the compound method of front-rear singing and a circular canon.
Dungdangaetaryong has the various types of the leading and the refrain. According to the beat number of refrain, it can be divided to three types; the 1 beat type, 2 beats type and 6 beats type. The subject of Dungdangaetaryong are as follows; love and hatred about a lover, longing between a mom and daughter, nature and amusements, lamentation about the misfortune and life with a husband"s family. They are expressed with the method of indirect figuration, so Dungdangaetaryong shows the sentiments of joy and pleasur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know that Dungdangaetaryong gives the young women the power to bear and overcome their hardships. It shows the various and specific features in the form and substances. The ideal and the purpose of studying Dungdangaetaryong is to succeed it in the present life and arts. In order of that, we should investigate the performing aspects of Dungdangaetaryong precisely and search the methods for recreating them as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Dungdangaetaryong has the various types of the leading and the refrain. According to the beat number of refrain, it can be divided to three types; the 1 beat type, 2 beats type and 6 beats type. The subject of Dungdangaetaryong are as follows; love and hatred about a lover, longing between a mom and daughter, nature and amusements, lamentation about the misfortune and life with a husband"s family. They are expressed with the method of indirect figuration, so Dungdangaetaryong shows the sentiments of joy and pleasur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know that Dungdangaetaryong gives the young women the power to bear and overcome their hardships. It shows the various and specific features in the form and substances. The ideal and the purpose of studying Dungdangaetaryong is to succeed it in the present life and arts. In order of that, we should investigate the performing aspects of Dungdangaetaryong precisely and search the methods for recreating them as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목차
1. 머리말
2. 〈둥당애타령〉의 분포와 연행양상
3. 〈둥당애타령〉의 문학적 특징과 의미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소개
2. 〈둥당애타령〉의 분포와 연행양상
3. 〈둥당애타령〉의 문학적 특징과 의미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소개
키워드
둥당애타령
연행양상
문학적 특징
앞소리
뒷소리
임에 대한 연정과 원망
모녀간의 그리움과 기대
풍류와 자연
시집살이와 신세한탄
Dungdangaetaryong
Performing Aspects
Literal Characteristics
The leading
Refrain
Love and hatred about a lover
Longing between a mom and daughter
Nature and amusements
Lamentation about the misfortune and life with a husband"
s family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언어문학회 회칙 외
- 圭南 河百源 시에 나타난 情懷의 변모 양상
- 金東里의 단편 소설 「黃土記」 연구
- 〈둥당애타령〉의 연행 양상과 문학적 특징
- 소설 『태백산맥』의 화용론 - 담화 표지 ‘와, 웨, 잉’을 중심으로
- 15세기 호칭어 체계 구축을 위한 시론
- 「온달설화」의 역사수용 의식과 재창조 양상
- 대학 작문 교육의 전략적 접근
- 박초월 바디 〈흥보가〉의 전승과 변모
- 李舜臣 〈閑山島歌〉의 전승과 성격
- 朱鳳傳과 中國作品의 影響關係(2) - 蘇知縣羅衫再合과의 影響關係를 中心으로
- 현대 국어 상호동사 구문 연구
- 金煥泰의 印象批評과 尹圭涉의 傾向批評
- 〈흑룡일기〉 연구⑵ - 개별 이야기 단락의 의미⑴
- 백석 시 「修羅」의 분석적 연구
- 尹善道에게 있어서의 ‘理想鄕’의 의미 작용 연구 - 杜甫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탈식민주의 여성소설의 함의
- 일제강점기 재만 조선인 소설 연구 - 이주 정착 양상을 중심으로
- 전남 방언 ‘실겅’과 ‘살강’에 대한 음운론적 분석
- 여성 패러디 소설과 문학 교육 - 〈나무꾼과 선녀〉 패러디 작품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