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aster Uisang"s Huayan Philosophy and Chinese Buddhism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저자명
- 허정희(Jung-hee Hur)
- 간행물 정보
- 『불교연구』불교연구 제22집, 121~13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2.0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ubject of this thesis: Master Uisang"s way to Tang for studying Buddhism, his philosophy and his influence upon Chinese Buddhism, is studied in the viewpoint of subjective cultural exchange not of the culture receptor.
Master Uisang has been simply regared as a learner of Zhiyan"s Huayan philosophy and the founder of the Korean Huayan School with introducing the idea into Silla. He, in fact, served as an important momentum for Beobsang"s Huayan philosophy with flourish.
He developed Huayan dogma which had been promoted by his master, Zhiyan, with 「Diagram of the Dharmadhtu according to the one vehicle of Huayan」 and formed his own Huayan ideas such as the metaphor of counting ten coins.
His student, Beobsang who is known as a crowner of Chinese Huayan, succeeded Uisang"s philosophy and successfully advanced it. This proves the diagram of the Dharmadhtu according to the one vehicle of Huayan is so important in Chinese Buddhism history as in Korean"s.
It is easily noticed that Uisang was not just a philosophy but a participant who brought the development of Chinese Buddhism. What he had done can be regarded as a proper example to look into the contribution for promoting Chinese Buddhism of Silla"s students who studied in China.
목차
1. 서론
2. 入唐求法 과정과 智儼과의 만남
3. 『화엄일승법계도』의 저술 및 중국불교사상의 수용
4. 의상의 화엄사상이 중국불교에 미친 영향
5. 결론
Abstract
2. 入唐求法 과정과 智儼과의 만남
3. 『화엄일승법계도』의 저술 및 중국불교사상의 수용
4. 의상의 화엄사상이 중국불교에 미친 영향
5. 결론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역사적 붓다의 본성에 대한 재고찰 - 초기 불교 문헌을 완성된 전체로 파악하는 접근법에 입각하여
- 『능가경』은 여래장과 알라야식을 동일시했는가?
- 선사상에 나타난 초목불성의 전개와 함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