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Characteristic of Busan in the Literature of Busan Area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남송우(Nam Song Woo)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6권, 73~8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2.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역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부산학에 대한 관심이 새로워지고 있다. 지역분권이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그 지역에 대한 특성이 먼저 파악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부산성의 파악은 부산학 연구에서 선결되어야 하는 과제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문학 작품 속에 나타난 부산의 모습을 통해 부산성을 파악하고 했다. 그 구체적인 대상으로 소설과 시 두 장르를 선택했다. 소설과 시에 나타나는 부산성의 특성은 우선은 개방성이란 점에 초점이 맞추어 진다. 이 개방성은 부산지역이 지닌 지리적 특성에서 비롯되기도 하지만, 여러 지역에서 유입되는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지역이 지닌 역동성과도 매우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점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As the interest in regional study grows, the study of Busan also has been increased with new aspect. The analysis of the region should be preceded to fully realize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in this respect, the research of characteristic of Busan is the priory task to be solved in the study of Busan. One of schemes for this task can be found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of Busan area in which features of Busan are shown. For more concrete research, novel and poetry were selected. In these two genres of literature which reveal the characteristic of Busan, the openness was more focused than other features. It can be explained as a geographical advantage, but seems to have more intimate relation with dynamicity of the region in which people from various places come and coexist.
목차
<국문요약>
1. 여는 말
2. 문학작품 속에 나타난 부산성의 모색
3.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교수 방법론에 관한 실제 조사 연구 : 서울 시내 4개 대학의 말하기 교육 중심으로
- 부록
- 중국의 경제개혁 : 내용과 성과, 문제점 및 전망
- 한국 所藏 마데오리치의 세계지도 연구 - 중국 所藏本과 비교를 兼하여 -
- 2005 APEC 경제회의의 의의 - 부산지역 관점에서 -
- 조선후기 궁중음식재료의 供上方法과 供上時期
- 부산 지역문학 속에 나타난 부산성의 모색
- 세계화와 부산지역경제 : 제조업공동화를 중심으로
- 兪樾與中日韓文化交流
- 한국의 부동산등기와 IT화
- 爲 “文學道路” 正名
- The Morality Tradition and Ben Jonson's Comedies
- 최초의 지성파 여배우 이채전(李彩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특수경력직공무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장관정책보좌관제도를 중심으로
- 직무급 도입 과정에 대한 다중 사례 연구
- 초저출산에 따른 공공 인사정책 방향의 전환: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한 인사정책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