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s of Service Guarantees, Guarantees' Effect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김립인(Jin Li-Yin)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23권 제3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s of service guarantees, Guarantees' effect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Six attributes of service guarantees such as restrictiveness, clearness, appropriateness, differentiation, confidence and convenience were arrang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rvice guarantees' effect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In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89 retail store users, and the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through AMOS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restrictiveness, clearness, appropriateness, confidence and convenience of guarantees significantly influence service guarantees' effect, the service guarantees' effect significantly influence perceived service quality. Also it found that clearness and appropriateness do influence restrictiveness of guarantees, and confidence of guarantees significantly effect on convenience of service guarantees.
From those results, marketers should consider the restrictiveness, clearness and confidence of guarantees when they try to develop an effective service guarantees program to improve service quality and customers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Ⅳ. 연구방법
Ⅴ. 실증분석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Summary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최근 개정된 중국대외무역법의 주요내용 평가와 시사점
- ISBP상의 항공운송서류의 일치성에 관한 심사기준
- 장소상품 관점에서 도시 이미지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고객요구사항과 품질기능전개를 이용한 고객지향적 상품 설계 - 러닝키퍼의 상품개선을 중심으로 -
- 인터넷 점포 신뢰구축과정에서 제3자 인증마크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서비스 보증 속성과 고객의 지각된 보증효력 및 서비스 품질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 수출ㆍ판로촉진정책의 지원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학생의 수업관여도와 강의평가 관심도가 강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공공기기 제품의 실험을 통한 인터랙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논문투고요령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