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假)’의 관점에서 바라본 이청준의 소설 인식
이용수 265
- 영문명
- Lee Chung-jun’s Novel-cognizance Examined by the ‘False(假)’ Motif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한순미(Han Soonmi)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한국언어문학 제55집, 481~49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0.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thesis considers chiefly in the 'False(假)' motif, appears repeatedly in Lee Chung-jun's novel. And attentions how the motif tuned with his formation of view of novel, and pursuits the aesthetic philosophic cognizance within.
In Lee's work, the question about 'False' processed as follows. On the basis, there is tragic cognizance that the actual world is full of the 'False', then searching alternative plan both in individual and social dimension. In such course, he used aesthetic device like 'Mask' and a 'rhetoric of Masquerading' in pickpocket character. Consequently, he rescues the romantic truth which has critical attitude on the absurdity and violence of actual world. It is clear that his works are not only the fictions but also the fictions intermediate actuality.
All of these examination let us notice Lee's post-modern speculation. And his works formated strategically by the supplement relation in "Truth/False, Fact/Rumor, Genuine/Corrupted, Value in use/Exchange value, Real/Fictional". Like this, by tuning the cognizance of 'False' variety, supplements new significance of the 'fiction', the basic concept of novel. Lee's peculiar 'pseudomorph(假象)' formed in this way.
목차
Ⅰ. 무한 변주의 모티프, ‘가(假)’의 철학적 사유
Ⅱ. 가면(假面)과 죽음 : 「가면의 꿈」과 「예언자」
Ⅲ. 가장(假裝)의 수사학 : 「소매치기」 연작
Ⅳ. 가상(假象)의 소설론 : 「가수」
Ⅴ. 가상(假象)의 탈근대성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소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마재 신화』에 나타난 신화성의 수사학
- 韓國婦謠에 나타난 여성들의 情恨
- 조선시대 불가한시에 나타난 고향의식 연구
- 15세기 ‘하낭다’체와 16세기 ‘하내’체의 기능 비교를 통한 관련 여부 탐색
- ‘人不救’ 설화의 印·中·韓 비교고찰
- 한국언어문학회 회칙 외
- 개화기 소설에 나타난 자연 인식
- 대명사 조응의 비통사적 해석에 대하여
- 고전소설의 동요 활용과 그 의미
- 한국문학사상 송강가사의 위상
- 백석 시의 수사적 책략
- 언어변이와 사회계층에 대한 일고 - 나주지역어의 마찰음화를 중심으로 -
- 신소설에 나타난 이념과 풍속의 거리
- 국어의 전환관계 접속어미에 대한 연구
- 梵海 覺岸의 濟州 旅行과 紀行詩
- 창작론적 비평 방법의 연구 - 성격화를 중심으로 -
- ‘가(假)’의 관점에서 바라본 이청준의 소설 인식
- 신채호 소설에 나타난 근대인관
- 旅菴 申景濬의 詠物詩 연구
- <흑룡일기> 연구 (1) - ‘<임진록> 전승<흑룡일기> -
- 시적 기제로서 강의 이미지와 상상력 -‘영산강’ 관련 연작시편을 중심으로
- [묶음]의 자질을 갖는 어휘에 대한 고찰 - 束[뭇], 뭇금, 동, 단, 자래를 중심으로 -
- 현대국어 의문문 종결형식의 구조
- 일제시대 어문규범 정리과정에서 나타난 수용과 변천의 양상 - <언문철자법>과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