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梵海 覺岸의 濟州 旅行과 紀行詩
이용수 68
- 영문명
- A Study on Beomhae Gakan’s(梵海 覺岸) Travel-poetry in Jeju Island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김석태(Kim Seokta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한국언어문학 제55집, 185~20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0.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bout Beomhae Gakan's travel-poetry in Jeju Island. He was born in Jeollanam-do, Wando-gun at 1820. He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when he was 14 years old. Then he lived in Daedun Temple at Haenam provinces for his whole life to practice austerity.
He traveled to many places from Geumgang Mountain to Jeju Island, writing poetry about his travels. He was interested in Jeju Island, and then he traveled to Jeju in 1873. The following are characters of his poetry.
First of all, Although, he didn't write many poems, they are rare and special in Buddhist Literate. You can feel how much he was interested and yearned about Jeju before he traveled when you read the Preface of “Dongsayeoljeon” and his anthology. Furthermore his poetry has all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literature such as an itinerary, descriptions and experience of travel-literature.
Secondly, because he was a Buddhist monk, characters of Buddhism were reflected in his poems. He gave expression to his feelings in poetry of his travels about Daejeong(大靜), Sanbanggul temple (山房窟寺) which are places of historic interest.
Thirdly, his poems are typical of transcendental Buddhism literature. He enjoyed Buddhistic emancipation while he lived in beautiful places like Baengnokdam(白鹿潭), Yeongsilgiam(瀛室奇巖), Jeongbang waterfall(正房瀑布) in Jeju.
Those characteristics of travel-literature truly matched his desires about Jeju when he stayed at Daedun temple.
목차
Ⅰ. 머리말
Ⅱ. 역대 佛家 詩文學과 濟州
Ⅲ. 범해의 제주에 대한 동경과 여행
Ⅳ. 범해의 제주 기행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소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마재 신화』에 나타난 신화성의 수사학
- 韓國婦謠에 나타난 여성들의 情恨
- 조선시대 불가한시에 나타난 고향의식 연구
- 15세기 ‘하낭다’체와 16세기 ‘하내’체의 기능 비교를 통한 관련 여부 탐색
- ‘人不救’ 설화의 印·中·韓 비교고찰
- 한국언어문학회 회칙 외
- 개화기 소설에 나타난 자연 인식
- 대명사 조응의 비통사적 해석에 대하여
- 고전소설의 동요 활용과 그 의미
- 한국문학사상 송강가사의 위상
- 백석 시의 수사적 책략
- 언어변이와 사회계층에 대한 일고 - 나주지역어의 마찰음화를 중심으로 -
- 신소설에 나타난 이념과 풍속의 거리
- 국어의 전환관계 접속어미에 대한 연구
- 梵海 覺岸의 濟州 旅行과 紀行詩
- 창작론적 비평 방법의 연구 - 성격화를 중심으로 -
- ‘가(假)’의 관점에서 바라본 이청준의 소설 인식
- 신채호 소설에 나타난 근대인관
- 旅菴 申景濬의 詠物詩 연구
- <흑룡일기> 연구 (1) - ‘<임진록> 전승<흑룡일기> -
- 시적 기제로서 강의 이미지와 상상력 -‘영산강’ 관련 연작시편을 중심으로
- [묶음]의 자질을 갖는 어휘에 대한 고찰 - 束[뭇], 뭇금, 동, 단, 자래를 중심으로 -
- 현대국어 의문문 종결형식의 구조
- 일제시대 어문규범 정리과정에서 나타난 수용과 변천의 양상 - <언문철자법>과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